정신과 약 복용 중 진료 미뤄도 되나요?
6월 28일 토요일 오늘 기준으로 7월 3일 목요일에 정신건강의학과 예약 잡혀있는데... 일정이 있어서 7월 7일 월요일에나 갈수 있을것 같아서요.. 우울증,불안 관련으로 약을 먹고있었는데.. 점점 약의 용량이나 차근차근 늘려가는중이라.. 빈 공백이 있어도 되나 싶어서요..

6월 28일 토요일 오늘 기준으로 7월 3일 목요일에 정신건강의학과 예약 잡혀있는데... 일정이 있어서 7월 7일 월요일에나 갈수 있을것 같아서요.. 우울증,불안 관련으로 약을 먹고있었는데.. 점점 약의 용량이나 차근차근 늘려가는중이라.. 빈 공백이 있어도 되나 싶어서요..
이틀전 누워서 운동하다고 상체만 들어올렸다가 코가 갑자기 압이 느껴지더니 이물감이 느껴요 지금까지 뭔가 막힌 느낌이 들어요 ㅠㅠㅠ이걸로 비염이 생기나요?
자가Mts했는데 롤러 소독 후 건조시킬때 입바람을 불었습니다 이거 세균이 많다하던데 주사염 걸릴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
장염으로 항생제 처방. 2일 복용후 심해진 위통과 가스참 설사있어요. 복용중단할까요?
86세 되신 뇌병변장애 장기요양등급 받으신 아버님이십니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다 있으신데 며칠전부터 발이 이렇게 부어있으셨다는데 무슨과 진료를 받아야하는지. 병원 가야하는 질환인건지..제가 평일에 모시고 갈 수가 없어서 혹시 비대면 진료를 받을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Hpv6번진단받고 사마귀 치료했는데도 질염이 심합니다. 살짝 가렵고 분비물이 많이 나오는데 이거 괜찮은건가요?
아기 저체온이 35도 밑이라고 들었는데요 35도 밑이 34.9도를 의미 하는지 35.1도에서 35.9도 전체가 다 해당 될까요?
도축일을 하는 사람이고 삼일전 돼지를 들다가 턱에 돼지가 닿았었는데 당일인지 다음날에 갑자기 턱에 뭐가 난것 같아 거울을 보니 여드름처럼 빨갛게 뭐가 올라오더니 삼일이 지난 지금은 사진처럼 빨간부분이 퍼지면서 살도 부었습니다. 이게 돼지때문인지 다른 이유인지는 모르겠는데 주말이라 피부과 가는것도 힘들것 같고 병원가기점 집에서 할수 있는 치료는 없을까요?
이번주 월요일에 이비인후과 가서 3일치 약 복용했는데 어제부터 기침이 심해졌어요 코 안쪽이 찡하기도 하고 약간 막힌 거 같고 머리도 약간 욱신거려요 오늘 아침엔 콧물이 그냥 나왔어요 (저번주에 같이 논 친구가 코로나 양성 떠서 수요일에 코로나 자가키트도 두번 해봤는데 음성 떴어요)
체했을때 이온음료 대신 링티 먹어도 되는지?
안씻은 파를 국에 넣어 불에 끓이면 농약이 사라지나요?
발가락 상황입니다. 어느병원에 가서 어떤 검사를 바 아야하나요?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늦출수는있어도 수술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알고있는데 맞나요?
질에서 최근 2일간 이 분비물이 나옵니다 지속적인건 아니고 가끔이요 3일전 산부인과 내원시에는 아무 문제가 없고, 생리 전 냉이 많이 나올 수 있다는 답변만 받았는데 분비물이 이상해서요..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가려움이나 통증은 없습니다
고혈압측정시 양쪽편차가심한데 어떤쪽이맞는지 궁금해요
이틀전 누워서 운동하다고 상체만 들어올렸다가 코가 갑자기 압이 느껴지더니 이물감이 느껴요 지금까지 뭔가 막힌 느낌이 들어요 ㅠㅠㅠ이유거
장염 후유증으로 인한 기능성 위장장애와 식도염이 악화되어 물 조차도 제대로 마시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고 의료진과의 비대면 상담을 통해 3~7일간의 금식과 수액 치료가 위장관 자극 호전에 도움이 되는 불가피한 선택이자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하셨는데 3~7일간의 금식이 병원에서 수액을 맞으며 진행하는것인지 아니면 집에서 금식을 하며 특정 상황에 병원에 방문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푸록틴캡슐 10mg 하루 한알 복용중이며,아빌리파이정 1mg (아리피프라졸) 일주일전에 추가 후 우울 상태는 좋아졌으나 밤에 계속 잠을 깨서요 오늘 잘때 자낙스정 0.25mg 절반 복용 후 잘려고 하는데요 내일부터 아빌리파이정멈춰도 될까요? 다니는병원목요일방문이라서요..
체했을때 토하고 까스활명수 먹어도 되는지?
일찍 잠드는게 어렵고 숙면이 힘들어서 요즘 저녁마다 멜라토닌 2mg을 먹고 있는데 이 정도 용량을 매일 먹는건 건강에 문제 없나요? 혹시 중독성이 있거나 단약했을 때 잠을 못자는 문제가 생기거나 하지는 않나요?
145일 아기 여름철 에어컨 속 체온조절 어떻게 하나요? 에어컨 바람 때문인지 에어컨을 26도로 맞춰두면 아기 체온이 35도로 떨어지고 체온을 높이기 위해 에어컨 온도를 높이면 땀을 흘려요 에어컨 속에서도 아이 체온이 35도로 안 떨어지고 적정 온도 유지 방법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