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잠이 설쳐서 피곤한데, 왜 그런 걸까요?
아무 일도 없는데 며칠 전부터 잠을 너무 설쳐요… 원래 이런 적 없고 잠 설치는 일도 두달에 한 번 있을 정돈데 갑자기 이래서 피곤해 죽겠어여

아무 일도 없는데 며칠 전부터 잠을 너무 설쳐요… 원래 이런 적 없고 잠 설치는 일도 두달에 한 번 있을 정돈데 갑자기 이래서 피곤해 죽겠어여
불면증으로 공항장애치료약인 리보트릴이 그나마중독성이적다해서 먹 고있는데 한알먹곤 잠이 안와요.약을 늘려도되느지요
저는 만 21세에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았습니다. 제가 현재 자폐로 인해 리스페달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제가 리스페달을 복용한지 1-2시간 경과한 것 같은데, 가슴과 흉통에 통증이 있고 계속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의 자폐 증세상 제한된 관심사가 철학인데, 철학에서 논쟁의 대상인 것에 대해서 제가 토론하듯이 대답하고 답변합니다. 정작, 제가 약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 패턴식으로 사고(가령 길에서 보도블럭을 보고 일자형으로 파인 곳이 직선으로 연결된 것과 곡선 지점을 판별)하는 것으로 언어화된 사고가 감소하여 평온합니다, 일단 제가 리스페달의 복용을 차후 소아정신과 내원 전까지 잠정중단하는 것이 좋을지요?!
현재 정신과 약(항우울제, 항불안제, 수면제) 을 1년반정도 복용증인데 이틀복용을 안했더니 온몸이 저리는 증상이 심하게 와요. 약을 급하게 복용하긴 했는데 어떻게 대처해애될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너무 불안하고 가슴이 답답해서 눈물이 니요. 필요시 약을 복용하긴했는데 오늘따라 유독 심한 것 같아요
이유를 잘 모르겠는데 두통이 너무 심해요 머리 뒷 쪽이 누가 쪼이는것처럼 아파요 왜 그런걸까요?ㅠ
잠이잘오지않네요,,
진짜 매일 같이 울어요 너무 외로운것고 있고 그냥 힘들어요 무기력하고 아무것도 못하겠어요 주위에 아무도 없어요
섭식장애 때문에 면,밥,빵,떡,고기 등 을 아예 안먹고 제 입맛에 맞는 간식들만 먹는데 거식증인가요?
식이장애를 앓고있어서 먹고뱉는기 습관이 됐는데요 어느순간부터 음식을 조금이라도 먹으면 토할거같고 소화가 안돼는데 식이장애 때문인가요?
제가 실수로 남의 면도기를 한번 사용했는데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오늘 집에 아무도 없을 때 순간적인 충동으로 락스를 꺼내 종이컵에 한모금정도 담았고 무서워서 물태웠다가 양이 더 늘어나니까 괜히 더 위험할거 같아서 그만뒀는데 가끔 정말 위험한걸 생각하기도 하고 실행하기도한다 현재 정신과 치료중 부모님과 의사선생님께 말해야할까 너무 무섭다
정신과에서 처방받은 아캄프로세이트 알콜치료로 복용하려구하는데 이거 먹으면 살 찌나요?
술금주하는약 처방받을수있나요
몇년 전부터 상사들이 바뀌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습니다. 물론 나이가 먹으면서 그런걸수도 있지만 몇가닥 보이던 흰머리가 수십가닥이 되고 작년엔 원형 탈모도 두 곳이 생겨서 치료했습니다. 다행히 주사와 약을 먹으면서 어느 정도 치료는 되었습니드. 이번에도 부서이동을 시도했지만 결국엔 안되었네요. 심신의 안정이 필요하다고 느껴지지만 이런상황에 정신 상담과 심리치료 약이 효과가 있긴할까요? 근본적인 해결이 안되는데..? 그래서 최종적으로 병휴를 쓰는게 좋다고 생각해서 진단서를 받고 싶은데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누군 금방 받을 수 있다고 하고 누군 몇달 상담을 해보고 결정하라고 하던데.. 몇달 있는다고 그 사람들이 바뀌진 않을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항우울제 중단 증후군이 얼마나 오래가나요?
공황장애 치료중인 환우입니다 직업에대한 스트레스성 발작등이 주원인 이엇습니다.많이 호전되었는데 재취업등으로 다시금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눈뜨면 그순간부터 여러생각으로 안절부절하고 인티넷으로 안좋은 사례만 검색하고 침대에만 계속 누워 있습니다. 몸도 게을러졌고 마음도 피폐해진듯 합니다 잠도 하루 네다섯시간에 서너번 깸니다 우울증과 불면증 인가요
심장 검사를 다했는데 심장에는 문제사 없다하셨어요. 콜레스트롤 수치가 조금 높게 나오고 동성 부정맥 진단을 받았는데. 계속 가슴두근거림 죽을거 같은 느낌 가슴 꿀렁거림이있네요.. 증상이 하루종일은 아닌데 계속 신경쓰면 증상이 심해지네요..
잦은 발표, 긴장으로 인해 인데놀을 처방받고 싶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기록 자체가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 타 과에서 인데놀을 처방받게 될 시 타과 진료 기록으로 남는게 맞나요?
직업상 수시로 발표시 잦은 긴장 등으로 인해 인데놀을 처방 받고자 하는데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 처방기록이 추후 보험 혹은 사회 통념상 개인에게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가. 2. 인데놀을 1번 항과 같은 문제와 전혀 상관없이 처방 받을 수 있는가.(예 : 급여 / 비급여의 차이로 비급여 처방시 기록이 남지 않는 다거나 등)
현재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어서 약물 복용과 함께 3개월 갸랑 입원하고 싶은데, 이와 관련해서 당분간 입원해야할 것 같으니 여행을 삼가야한다는 진단서를 받을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