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열이 38도 전후일 때 병원 방문 필요할까요?
14개월아기입니다 새벽5시에 열나는걸확인하게됐는데 38.8도였어요.급히해열제복용후 한시간후에 37.5도로떨어졌는데.다시37.8로올랐어요 급하게병원방문을해야할까요?아님좀더지켜봐야할까요 요즘더워서 에어컨을계속틀고있는데 열날때에어컨을틀고있는게맞는지.걱정도되구요.해열제복용은 몇시간텀을줘야하나요?38도넘으면복용한다던데. 38도가넘지않으면 지켜보다 병원을안가도되는건가요?현재37.8~9도인데
14개월아기입니다 새벽5시에 열나는걸확인하게됐는데 38.8도였어요.급히해열제복용후 한시간후에 37.5도로떨어졌는데.다시37.8로올랐어요 급하게병원방문을해야할까요?아님좀더지켜봐야할까요 요즘더워서 에어컨을계속틀고있는데 열날때에어컨을틀고있는게맞는지.걱정도되구요.해열제복용은 몇시간텀을줘야하나요?38도넘으면복용한다던데. 38도가넘지않으면 지켜보다 병원을안가도되는건가요?현재37.8~9도인데
닥터나우 AI가 100만 건의 상담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공한 답변이에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소아청소년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때문에 많이 걱정되시겠네요.14개월 아기의 체온이 38.8도였다가
복용 후 37.5도로 떨어졌다가 다시 37.8도로 올라간 상황이시군요.일반적으로
이상의 열이 지속되고, 해열제를 먹였는데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병원 방문이 권장됩니다. 현재는 37.8~9도로 38도 미만이라면, 아기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하면서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평소와 달리 많이 보채거나, 숨쉬기 힘들어하거나, 기운이 없어 보인다면 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해열제는 보통 4~6시간 간격으로 복용하며, 38도 이상일 때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열이 날 때
은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직접적으로 찬 바람이 아기에게 닿지 않도록 하고, 실내 온도를 26~27도 정도로 적절하게 유지해주세요. 실내가 너무 덥거나 습하면 오히려 열 발산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열이 38도 미만이더라도 열이 계속 지속되거나 아기의 상태가 좋지 않아 보인다면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열이 며칠 이상 지속된다면 원인을 찾기 위해 의사의 진찰이 필요합니다.
위 내용은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한, 건강 정보에 최적화된 AI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의료진이 검토한 답변이에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14개월 아기가 열이 있어
를 먹였는데 다시 열이 오르고 있군요.소아의 정상 체온은 대체로 36.5도에서 37.5도 사이예요.
37.5도가 넘으면 미열이 살짝 있는 것이고, 이상이면 발열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4개월 아기가 새벽에 38.8도까지 열이 올라쓸 때 해열제를 복용 시켜주신 점은 너무 좋은 대처였어요.
하지만 열이 다시 37.8도까지 오르면서 미열이 생기니, 약을 다시 먹여야 할지 병원을 가야할지 우려가 되었을 수 있는데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아용 해열제는 성분과 성분이 있습니다.
만약 두 약을 번갈아 가면서 먹이는 을 시도한다면, 최소 2-4시간 간격으로 약을 교차해가며 먹일 수 있는데요.
시간 계산을 잘 해서, 1일 횟수가 초과되지 않게 해주셔야 해요.
또, 체온이 38도 아래로 한 번 크게 떨어졌다가 다시 조금 오른다고 해도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다시 올라가지 않는다면 다음 복용 전까지 등을 해주면서 조금 기다려 보아도 좋습니다.
아기가 열이 있을 때 방 온도는 너무 덥지도, 너무 춥지도 않게 유지하는 것이 좋아요.
7-8월 한여름에는 을 켜되 25-27도, 습도 50-60%를 유지 해주시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아기가 너무 땀을 많이 흘리거나 추워 보이면 담요나 옷을 덮어 체온을 조절해 주세요.
아기가 단순히 미열(37.5~37.9도)만 있는 상태고, 해열제로 발열이 조절이 된다면 집에서 증상을 관찰해도 됩니다.
하지만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ᵕ′*)
우리 아이, 감기 걸렸을 때 증상별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소아과 비대면진료 방법도 함께 정리했어요.

5.0
2025.11.03
감사해요!!
44일차 아기를 키우고있습니다. 아기가 오늘은 유난히 낮잠을 잘잤습니다. 그렇다고 보채거나 하지는 않았고 쳐져보이지도 않았어요 분유도 원래 먹던 양 만큼 잘 먹구요 근데 방금 약간 몸이 따뜻한거 같아서 체온재보니 38도 38.1입니다. 기침, 가래는 전혀없어요 병원으로 가야하는건지.. 일단 미온수로 닦고 1시간있다 열 재보고 내려가는지 지켜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애기데리고 외출한적도 전혀 없고 저도 집콕 하는 중인데 ㅠㅠ 갑자기 열이 날수있나요.. ?ㅜㅜ 추가로 이틀 전부터 밤에 잘때 유난히 땀에 젖었던건 있었습니다... ㅠ 근데 몸이 뜨겁다 라는 느낌은 전혀없었기에 열을 따로 재보진 않았습니다..

9개월아기 어제 목이 부어있고 콧물이 나서 병원가서 기침, 콧물약 처방 받았는데 새벽2시에 39.2도까지 올라서 해열제 4미리 먹이고 열패치 손수건으로 몸 닼아주니 열 내려갔다가 지금 열이 38 왔다갔다 합니다 병원 다녀 다시 와야할까요?ㅠㅠ

5개월 아기예요. 오늘 오후 4시부터 열이 오르는데 38도 정도 됩니다. 어제 새벽부터 콧물이 흐르면서 코막혀서 잠을 설치더라구요. 해열제를 가진 게 없습니다. 아기 밥은 잘 먹고 놀기도 잘 노는데 열이 계속 납니다. 병원 달려가야하나요? 아님 일요일이니 내일까지 버텨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