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티논 간헐적 복용해도 되나요?
이소티논을 3주간 먹고 끊은지 10일이 됐는데 아직까지 피지가 아예 안나오는 상황입니다. 이 상태가 지속됐으면 좋겠는데 슬슬 피지가 다시 나온다 싶을 때 한알씩 먹고 해도 괜찮나요?

이소티논을 3주간 먹고 끊은지 10일이 됐는데 아직까지 피지가 아예 안나오는 상황입니다. 이 상태가 지속됐으면 좋겠는데 슬슬 피지가 다시 나온다 싶을 때 한알씩 먹고 해도 괜찮나요?
쓸려서 살갗이 벗겨져 새 살 재생 밴드 메디폼 붙이고 주변 살과 몸에 빨갛게 올라왔는데 부작용인가요?
사후피임약 비대면으로 해주실수없나요?
얼리임테기로 관계 15일 후 아침 첫 소변에서 비임신이면 임신이 아닌거죠?
배에 가스가 찹니다! 한 2~3주 전부터 가스가 많이 배출됩니다 괜찮았다가 갑자기 배에 가스가 차고 배가 부풀며 약간의 복통이 생깁니다. 최대한 가스배출을 유도해서 비웠다 싶으면 또 잠시후 가스가 차서 난감합니다ㅠㅠ 그리고 한 번 씩 소량의 변도 배출해야 가스가 배출되기도 합니다… 또한 1~2주에는 가스에 독한 냄새가 나는 편이었는데 현재는 다행히 전처럼 심한 냄새는 안나는 편입니다 왜 이러는 걸까요 그리고 진료를 받을 시 소화내과, 항문외과, 한방 중 어딜 가는 게 좋을까요…
엄지발톱 왼쪽은 붙어있고 오른쪽 부분은 뿌리 끝까지 들려 피가 나서 응급처치로 소독티슈로 주변 피 닦고 후시딘 바른후 멸균드레싱으로 살짝 압박하여 피는 멈춘것 같습니다 앞으로 관리법이 궁금한데요.발을 비누로 씻어도 되는지 습하면 안된다 하는 글도 봐서 통기성 좋게 드레싱 안한채로 소독하고 연고만 바르는게 나은건지 아니면 상처보호, 감염예방하기 위해서 소독 및 연고 바르는 행위, 드레싱 교체를 매일 아니면 어느 주기로 해야하는건지 궁금 합니다.
이소티논과 핀플연질캡슐은 같은성분의 약인가요? 이소티논먹다가 바로 다음날부터 핀플로 약 바꿔서 먹어도 괜찮은건가요?
어제 남편이랑 관걔하다 잘못넣어서 밑에 그 살이아픈데 오줌닦을때 아픈데 어띃게해여?
내치핵이 있으면 대변도 잘 안 나오고 변의 크기도 줄어드나요?
갑자기 질 부분이 간지럽고 뭐가 나와요
예전에난잠에취해서 일어나면아잘잣다 인데 그걸 취한걸 끼먹은건지 요새는자면서 기억이 안나긴사는데 일어나변 피곤라진않아요 근데 얕게잣는짗깊게잣즌짚알수없는? 얕게자면 확실힢기억나는데 애매해요 ㅇ메전만늠이 아니여서그런가 이것도 깊게 잔거갯됴
천식 흡입기는 심비코트 터부헬러 160/4.5 쓰고 있는데 이 약도 비대면 가능 한가요?
장염에 걸린거같은데 원인이 뭔가요?? 그리고 음식을 잘못먹어서 발생된거라면 보통 몇일전 음식섭취가 원인인가요?
가끔씩 치통이 심하게 올때가 있습니다. 어느정도냐면 일반 밥 조차 못씹겠다 할 정도로 조심스럽게 씹어야 할정도로 아플때가 있습니다. 근데 신기하게도 2~3주만 지나면 무슨 일이 있엇냐는 듯이 치통이 사라집니다. 작년에 한번 이거 때문에 치과에 갔으나 안쪽에 썩었을지도 모른다고 때운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때웠어도 몇달 지나면 다시 치통이 있습니다. 심지어 치통이 심한 날에는 먼가 씹고 있지도 않은데도 지속적으로 아플때가 있습니다. 뭐랄까 씹을때 아픈게 찌릿? 인데 씹지 않을때의 치통은 심하게 아프지는 않지만 먼가 멍이 든것처럼 좀 욱씬 거리긴 합니다. 현재 이 상태만 4년째입니다.
30대 여성입니다. 장염이면 몇일전부터 어떤 전조증상이 있고 몇일 뒤 본격적으로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그리고 설사를 계속 하는데 음식을 안먹는게 낫나요?
신경과에 장기내원하는 사람도 많나요?
4개월 예방접종후 열이 납니다 어린이타이레놀협탁액을 처방받아와서 38도 넘었을때 한번 먹였는데 뱉어냈는데 얼마만큼 뱉어냈는지 가늠은 안되서 그저 열 떨어지길 기다렸는데 2개월 접종때와 다르게 그때는 한시간후에 열떨어졌는데 지금은 열 떨어지는것도 느렸고 다시 열이 38도 넘어가서 약을 먹였습니다 아이한테 이 약이 맞지않는거같은데 2개월 접종때 처방받은 약이 더 맞는거같은데 다시 약을 처방받아와야할까요 아니면 상황을 조금 더 지켜봐야하나요 그리고 약을 재복용할때 무조건 38도 넘어서까지 기다려야하나요 아이가 잠도 못자고 보채는데 안쓰러워서 못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손발이 따듯해지는건 열이있어서일까요 아니면 차가우면 열이 오르기전이라고하는데 따듯하면 열이 내리는거다 이런말이있나요 그리고 아까 발이 따듯이아니라 뜨겁던데 이건 왜 그런건가요
19주입니다 의사선생님께서 반듯하게 자면 배뭉침이 생길수있다고 옆으로 자는걸 귄장했는데요 옆으로 자도 배뭉침이 있는데요 수면중 통증없는 배뭉침 자주일어나고 바로풀리는건 괜찮나요? 경부길이및 초음파검사에는 괜찮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혹시 실수로 뒤척거리다 반듯하게 자면 태아에게 안좋은 영향을주나요? 산소공급이라든지 태아에게 안좋나요 일시적으로 자면서 무의식으로 반듯하게 자다가 다시 옆으로잡니다. 중기나 말기때도 1시간2시간 잔깜 그렇게 자는것도 태아에게 안좋은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전날 화장실안가고 변비처럼 머물려있어서 더 배뭉침이 잘때 자주있을 수 있을까요?
아침부터 저녁까지 쭉 뒷머리라 쪼여오고 욱신거려요 너무 아픈데 머리가 더 무겁게 느껴져요
전문의가 실시하는 산동 안저검사는 질환을 잘 잡나요? 산동 안저검사와 안압검사만으로도 녹내장 의심정도는 잡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