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통증과 공황장애의 관련성은?
공황장애도 가슴통증이 있나요? 제가 가슴이 답답하면서 무엇에 맞은 것 처럼 아프거든요..

공황장애도 가슴통증이 있나요? 제가 가슴이 답답하면서 무엇에 맞은 것 처럼 아프거든요..
우울증 있었는데 진단코드에서 빠진지 몇달 되었어요. 불안장애는 여전히 있습니다. 약 복용한지는 몇년 되었습니다. 나아지고 있는데 최근 3주 무기력이 심하고 우울하고 부정적인 생각이 많이 듭니다. 우울증 재발인가요? 재발이라면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불안장애 환자가 불안 증세를 느낄 때 혈압과 맥박은 정상이지만 가슴이 옥죄는 듯한 느낌만 받을수도 있나요?
스틸녹스를 일주일치 처방받아 복용중인데 현재 3일째 복용중인데도 효과를 못느끼고있습니다. 의사선생님이 일주일치 처방해준대로 복용해야될까요? 중단하는게 맞을까요?
뒤로 넘어졌다가 충격 받고 잠시 동안 말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었는데 무슨 증상인가요?
주중에 너무 졸립니다. 특히, 수업중 참을수 없는 졸음이 밀려올 때가 있습니다. 한번 시작되면 1시간 정도 지속되며, 때리기 꼬집기등 어떠한 방법으로도 깰수가 없습니다. 서서 수업 듣다가도 쓰러질 뻔한적이 가끔 있습니다. 수면시간은 평균적으로 12시 - 1시 사이에 잠자리에 들며, 실제로 잠에 빠지기까진 약간의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월, 수요일엔 6시 20분에 기상하고, 나머지 요일은 9시 기상합니다. 다만 가끔 알람을 꺼놓거나 알람이 울린 후에도 다시 잠이 들땐 12시간 넘게 잔적도 종종 있습니다. 가위눌린적 없고, 탄력 발작도 느낀적 없습니다. 수면 장애가 맞을까요..?
밤에 9시만 되면 자게 되고, 무조건 오전 6시에서 7시 사이에 눈을 뜨게 됩니다. 이렇게만 봤을 때 수면이 정상 같지만 9시에 졸릴 때가 문제인데요. 그냥 피곤한 정도가 아니라 수면제를 먹은 것 처럼 미친듯이 졸립니다. 밖에 있을때 걸으면 졸려서 약간 휘청거리듯 걷게 되고 술자리에 나가있으면 혼자 잠에 취해있습니다. 이거 무슨 증상인가요. 그리고 어떻게 해서든 9시가 지나서 자도 일어나는 시간은 거의 똑같아요.
자주는 아닌데 가끔 밤에 불 다 끄고 자려고 하면 갑자기 누가 나타나서 저를 찌를거같아서 불안하고 무서워서 잠을 못자겠어요 집에 혼자 있을 때 머리감거나 무방비 상태일 때 갑자기 누가 문 열고 저를 찌를거 같아서 머리도 못감고 세수도 못하겠어요
대전글로벌튼튼병원 내과 담당원장님께 진료보고 대전을지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처방약들도 알려드리고 조울증,공황장애,손떨림약 복용중에 필요시약으로 편두통이 있는데 정신과 담당교수님이 스트레스성이라고 했다고 말해드리고 필요시약으로 써스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약을 플라스틱통으로 21일치 처방받아서 편두통있을때만 복용하고 15일치 남았고 오늘만 오후2시이후에 한알 물이 없어서 침모아서 삼켰는데 물없이 약복용해도 약효가 있을까요? 오후8시이후에 편두통이 있어서 물하고 약 한알 복용했는데도 아직도 편두통으로 뭔가 쪼아되는 통증이 아직도 있어요 그리고 제가 물을 잘안마시는편인데 탈수증상이 궁금해요 써스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약이 15알 남았는데 필요시약으로 복용중인데 이약을 다먹으면 닥터나우 비대면진료로 약처방받아 복용할 생각인데 무슨과로 해야될까요? 편두통이 스트레스성이라서요
편두통이 있는데 대전을지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도 조울증,공황장애,손떨림약도 아침약 2알 취침전약 8알 복용중이고요 담당교수님이 스트레스성 편두통이라하셔서 대전글로벌튼튼병원 내과 담당원장님께 필요시 약으로 진통제처방받은게 플라스틱통에 받았어서 가방에 챙겨갖고 다니는데 일하거나 가방을 안갖고 다닐때 편두통이 오면 어떻게 해야하나도싶고 편두통이 뭔가 쪼아되는듯한 통증이다보니 약이 없을때나 편두통은 왜생기는지 해서요
부작용 방지약으로 벤즈트로핀 약을 아침,저녁으로 먹었는데, 주치의께서 벤즈트로핀이라는 약이 눈 초첨을 안 맞을 수 있다고 오래전 부터 얘기 하셨습니다. 그러던 중 약물 변경으로 인해, 이제는 눈 시력이 원래대로 되돌아 왔습니다. 현재 복용중인 약으로 인해 집중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걸 느끼고, 증상적인 부분은 약 만 잘 먹는다면 없다고 저 스스로 생각합니다. 그러면 어떠한 점이 달라졌다고 볼 수 있는걸 까요? 전에 복용했던 약: 리스페리돈, 올란자핀, 리튬 현재 복용하는 약: 블로난세린, 아빌리파이 * 벤즈트로핀은 여전히 아침,저녁으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진단명: 조현병 진단코드: F29( 상세불명의 비기질성 정신증)
제가 어렸을 때부터 스트레스 받거나 신경 쓰이는 일이 있으면 혀를 물어뜯는 습관이 있어요. 무의식중에도 뜯고 의식하면서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해도 뜯게 돼요. 고치려는데 쉽지 않아요. 진짜 심할 땐 피가 철철 나는데.. 제가 왜 굳이 물어뜯는지 모르겠고 고치는 방법도 궁금해요... 정신과 가보려고 했는데 진료비가 비쌀까 봐 걱정돼요.
식초 냄새나 음식 냄새가 연하게 맡아지고... 확실하게 냄새 맡기? 아 이건 밥 짓는 냄새다 하고 와닿지가 않아요.. 우울증과 무기력증이 심하긴 한데 그렇다고 냄새까지 안 맡아질까요...? 40대 초반인데 치매라도 걸린 걸까요...?
어머니께서 환청이 너무 심하셔서 당장 약을 드셔야 할것같습니다 10년전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환청 증상으로 약을 먹고 괜찮아 지셨는데 며칠전부터 다시 증상이 심해지셨습니다 누군가 어머니께 욕을하고 자신을 해하려 한다고 환청이 들리는 상황입니다. 혹시 10여년전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진료 기록"과 "약처방 기록"등을 알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애정결핍 증상으로는 어떤 게 있나요?
피부가 아무렇치도 않은데 가려워요 대전을지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20년7월 조울증 진단받고 손떨림도 담당교수님이 발견하셔서 조울증약과 손떨림약 아침,취침전약 복용하며 있다가 23년10월에 공황장애약이 추가되어 아침약 테프라정40mg반알,리보트릴0.5mg반알 취침전약 테프라정40mg반알,리보트릴0.5mg반알,라믹탈정50mg반알,리단정300mg한알하고반알,아티반정1mg,쎄로켈정100mg한알,자이프렉사5mg한알 이렇게 복용중인데 피부가 가려운게 아무렇치도 않은데 가려운게 어떤사람은 정신질환때매 그렇다하고 담당교수님도 반복적으로 피부과가는것도 안좋다하셔서 피부과는 안가고 있는데 피부가려운게 여기저기 다 가려워서요
어떤 수면제든 한알을 먹으면 잠이 안오고 최소 2알 이상 먹어야 잠이 옵니다 병원에서 수면마취 할 때에도 남들보다 약을 더 주입해야 마취에 듭니다 이런 수면계열의 약이 안듣는 체질이 있는건가요?
갑자기 몸이 움찔거리고 심장이 두근거림
식욕억제 목적으로 처방받아 토피론정 2주복용 했는데 짜증이 늘고 생리를 안해요 이 약 먹고 그럴 수 있나요?!
의사 선생님이 교감 신경이 예민한 불안장애 환자는 원래 봄과 가을(3~4월, 9~10월)에 상태가 안좋을수밖에 없다고 말씀하시던데 그 이유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