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하고 잠을 못 자면 기억과 혼란이 생길까요?
너무 우울하고 잠을 안자면 기억이 안 나고 과거랑 현재가 섞일 수 가 있나요?

너무 우울하고 잠을 안자면 기억이 안 나고 과거랑 현재가 섞일 수 가 있나요?
토파맥스 먹고나서 짜증남이 더 심해진거같아요 이럴수있나요?
정신과 약중에 다이어트 효과가 높은 약이 무엇인가요
다이어트하려고 토파맥스정 이라는 약을 처방 받앗는데 먹으니까 무기략해져서 끊고싶은데 맘대로 끊어도 될까요?
토파맥스정 약을 먹고 무기력 해진거같아요 부작용에 있나요?
제가 어제 아침에 일어나서 릴렉스온을 복용하고 자기전에 세라토판을 복용중인데요 오늘 좀 스트레스를 받고 약간 무리해서 그런지 심장이 두근거려서 잠을 설치는중인데 세라토판은 복용했고 릴렉스온 새벽에 복용해도 되나요? 릴렉스온은 어제 아침에 한알복용했어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기면증 약이 키 성장에 영향 미치나요?
15살 여중생인 동생이 자해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신과로 데려가기는 힘들 것 같은데..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일주일 전부터 계속 목이 조이는 증상과 심할때는 숨이 잘 안쉬어지기도 하고, 불안해질때 갑자기 손이 차가워 진다거나 이러한 증상이 있는데 정신건강의학과를 안가고, 약국에서 살수 있는 약이 있을까요….
사람 많은 곳 가면 숨막히는 기분에 어지러운데 무슨 증상인가요..? 4개월전에 우울장애 주의단계 진단을 받긴 했는데 우울증에 이런 증상도 포함되어 있나요
수면장애와 관련있는 내과 질환이 뭐가 있나요?
불안장애 증상 중에서도 목 통증이 있나요? 불안한 일이 조금이라도 생기면 목 제일 아랫쪽이 욱신거리는데 막 아프진 않고 통증은 없는 수준이지만 자극은 있습니다. 한 2주 전에 공황발작을 겪고 불안이 심한 일이 있었는데 그때 이후로 이래요.
공황발작은 응급실에서 어떤조치를 하나요?
심장이 가끔씩 너무 먹먹해져서 저도 모르게 손을 꽉 쥐게 돼요 숨도 같이 막히는 느낌이라 숨을 크게 들이 쉬고 내쉬면 좀 나아요 최근 이별을 했는데 전에도 이런적이 아주많았어요 공황장앤가요?
매일 12시간 이상 자는 19살이 아무 건강상의 문제 앖이 그냥 잠만 많은 사람일 수 있나요? 그러니까 잠이 많은건 병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제가 19살인데 매일 12시간 이상 잠을 자서 고민입니다. 11시간 이상 자도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낮잠을 꼭 잘 정도로 피로도가 높고 기력이 없어요 아침에 일어나는것도 너무 힘들고요 딱히 우울증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도 아닌데 간에도 이상이 없고요.. 벌써 3년째 이럽니다. 왜 이러는지.. 어떤 검사를 어디서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대략 불면증으로 수면제 먹기 시작한지 16년쯤 된거 같은데요 요근래에는 약을 먹어도 못잘때가 있어서 근데 향정이다보니 지금 구매하는 곳에서는 더이상 증량은 안해주실듯한데 필요시 먹을 용도로 구매 가능할까요? 지금 스틸록스cr12.5 2알 라제팜2알 먹고 있어서 복용량이 아마도 많긴 합니다만 어떨때는 2일치를 먹어도 날밤새고 출근할때가 많아서요 혹시 다른곳에서 처방받아서 먹고있어도 처방가능할까요?
제가 대략 12시 정도에 발표를 해야할 일이 있는데 발표때마다 너무 긴장하고 목소리 떨림도 심해서 이번에 처음 인데놀을 먹어보려합니다ㅜ 몇시쯤 먹어야 효과가 제일 좋을까요?
환시, 환청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악화되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나요?
여자친구가 우울증 같아서 치료권유를 했는데 치료거부가 너무 심하고 치료의지가 전혀 없어서 한참 설득하다가 겨우 같이 병원을 가기로 했어요. 여기서 궁금한게 보호자인 제가 의사쌤께 환자의 증상을 대신 말해도 괜찮을까요? 제3자로서 옆에서 보고들으며 느낀 환자의 증상을요 유튜브 등으로 치료 관련해서 보니 환자와 의사가 증상을 묻고 답하면서 리포형성을 하던데 혹시 제가 대신 증상을 말함으로써 그런 관계형성에 방해가 되는 건 아닐까해서요 제가 대신 말하려는 이유는 일단 환자 본인이 치료필요성을 크게 못느끼고 증상에 대한 자각이나 치료의지도 약하고, 또 피해망상적인 부분은 아예 인정하지 않아서 이런 증상들에 대해 스스로 얘기를 잘 할지 의문스럽고 또 증상을 잘 얘기하지 않으면 치료에 지장이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혹시 제가 느낀 여자친구의 증상을 의사쌤께 대신 얘기해도 괜찮다면, 환자를 옆에 두고 말해도 되는지, 아니면 환자는 잠시 밖에 내보내고 의사쌤께 1대1로 말씀드리는게 나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