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와 목 통증을 정신과에 말해야 하나요?
요즘 허리 목이 아프고 뻐근하고 툭 소리 나면 괜찮아지는데 그게 심하게 반복되는데 정신의학과 적인가요? 제가 우울증 약도 먹고 ADHD약 먹어요 이거 정신과 교수님 한테 말해야하나요? 아직 소아에요
요즘 허리 목이 아프고 뻐근하고 툭 소리 나면 괜찮아지는데 그게 심하게 반복되는데 정신의학과 적인가요? 제가 우울증 약도 먹고 ADHD약 먹어요 이거 정신과 교수님 한테 말해야하나요? 아직 소아에요
질문자님의 허리와 목 통증에 대한 고민이 느껴집니다.
정신과 약물(우울증, ADHD 약)을 복용 중이시라면, 경험하고 계신 신체 증상을 담당 정신과 교수님께 말씀드리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신체 증상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신과 의사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용 중인 약물의 부작용일 가능성: 일부 정신과 약물은 근육 긴장이나 통증과 같은 신체적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 조정의 필요성: 증상이 약물과 관련되어 있다면, 용량 조절이나 약물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신적 상태와 신체 증상의 연관성: 스트레스나 불안이 근육 긴장을 유발하여 신체 통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종합적인 건강 관리: 정신과 의사는 필요시 다른 전문의에게 의뢰하여 추가 검사나 치료를 권고할 수 있습니다.
물론 증상의 성격에 따라 정형외과나 신경과 진료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현재 정신과 치료 중이시라면 우선 담당 교수님께 이러한 증상을 알리고 상담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AD
요즘들어 제 애착유형인 회피공포(혼란형)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았는데요 최근에 애착유형 테스트 라는 걸 해서 회피공포(혼란형) 이라는걸 자가 진단 받았는데요 증상,혹은 특징이 너무 저랑 똑같고 의식하다보니 더욱 불안해지고 더 심해진 것 같아요 제가 오래전부터 심리상담을 받았었는데 전혀 효과가 전혀 없고 오히려 자존감만 내려앉게 되는데 이런 불안증세도 정신과 약물로 치료할 수 있나요?
제가 불안증, 우울증으로 병원에 다니고 있는데요 이제 막 1개월정도 되었고 로라반, 에프람 필요시로 브로마제팜, 트라조돈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가족들이 너는 왜 자꾸 약을 먹냐고, 스스로 이겨내야지, 나중에 중독되서 못 끊으면 어쩔래? 라고 합니다. 근데 저는 스트레스가 자꾸 신체화(흉통, 숨가쁨, 두근거림, 답답함, 두통, 관절통)되어서 상담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거 같아서 약을 먹는건데, 가족들은 자꾸 너는 약을 먹을 정도가 아니다, 너는 성격이 그런거라서 약으로 절대 고쳐지지 않는다. 니가 니 의지로 이겨내야지. 라고 하는데 안 그래도 약 먹는것에 대해 조금의 의심을 갖고 있는 제게 계속 불안을 심어주는 것 같습니다. 우울 불안이 계속 신체화되는 경우는 어느 정도의 치료기간이 필요할까요? 통상적으로 약 6개월로 알고 있는데, 제가 그때까지 약을 먹으면 끊을 수 있을까요? 가족들은 자꾸 너 약 한번 먹으면 평생 먹게된다 가서 줄여라 라고 합니다.
요즘 혼자 있을때 자꾸만 눈물이 나고 또 학교에 등교해서 친구들을 만나면 숨이 턱턱 막히는 느낌이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