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에센스가 얼굴에 닿으면 여드름이 생기나요?
안개분사형 헤어에센스가 얼굴에 튀겼는데 튀기자마자 휴지로 톡톡 하면서 닦아냈어요. 안개분사라 미스트처럼 튀겼구요. 이미 스킨로션 다 끝낸상태라 여드름이 올라올까요?

안개분사형 헤어에센스가 얼굴에 튀겼는데 튀기자마자 휴지로 톡톡 하면서 닦아냈어요. 안개분사라 미스트처럼 튀겼구요. 이미 스킨로션 다 끝낸상태라 여드름이 올라올까요?
사후피임약 처방 받고싶은데 비대면 방법 있음 알려주세요 그리고 산부인과 가면 사후피임역 처방 받을 때 따로 검사하는게 있는지 그냥 피임약 처방받으러 왔다고만 말하면 바로 처방해주는지랑 가격 궁금해요
폐렴은 완치 개념이 없나요?
헤어 오일 에센스가 안개분사인데 얼굴에 살짝 튀겼는데 여드름 올라오는거 아니겠죠?
현재 성인 혼자 24살 여성이 혼자 산부인과가서 혼자 낙태하면 어느 병원이든 안 받아주나요..? 만으로 미자이면 안된다고는 들었는데 성인은 되나 싶어서 궁금합니다
제가 엊그제 처음으로 연골에 피어싱을 하였는데 머리를 넘기다가 자꾸 자극을 줘서 그런건진 모르겠지만 좀 붓고 열감도 좀 있고 조금만 건들여도 통증이 있는데 자연스러운 현상인가요?
주사피부염인데 수란트라만 발라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치아 불편감으로 너무 고통받고있습니다 ㅠㅠ 앞니 바로 옆 치아와 그 바로 옆 치아(즉 정면에서 보이는 위 치의 치아), 그 두 특정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낀것 같은 느낌 이 2주째 듭니다. 1. 2주째 지속중 2. 아침엔 주로 괜찮고 생활하다보면 이물감 생김 3. 치실 해도 똑같음. 어떨땐 양치하고나면 더 이물감 심해짐 4. 치과 진료 받고 왔는데 거 없고 멀쩡하다고 하심 5. 그런데도 증상 지속. 느낌은 뭔가 고기가 것같은 느낌 육안으로도 보이는 이물질은 없어요. 특정 국소적인 그 부위가 계속 음식물 낀 이물감이 들어요. 정 말 미쳐버리겠어요.. ㅠㅠㅠㅠ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ㅠㅠ 치과 갔는데도 이상이 없다고 하셔요...ㅠㅠㅠ 30년동안 이런적 없었는데, 최근 2주간 악화와 완화를 반복 중이네요. 제가 여기서 뭘 의심해볼수있을까요?ㅠㅠㅠ 다른치과를 가보면 방법을 찾을수있을까요? 혹시 잇몸이 안좋은걸까요, 잇몸 문제를 이물감으로 느낄수도 있나요?ㅜㅠ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ㅠㅠ
관계 후 오늘이 21일째고 생리예정일은 7일뒤입니다 입맛이 조금 없고 약간 속울렁거림이 있어요 21일전 관계할때는 올바른 콘돔 착용 후 빼면서 사정했어요 임테기를 내일 아침소변으로 검사해도 정확도가 높을까요?
내일 자궁내막증 수술이 있어 관장을 하고 있는데요 원래 매일 밤 10시에 비잔정을 복용하고 있었는데 관장약 먹는 중에도 원래 시간대로 비잔 복용하는게 맞나요? 다니는 병원에 물어보고 오는 걸 잊었네요ㅜ
쌍수 절개 6개월 전까지는 눈 크게 뜨고 힘주는 것과 Vs 힘 풀고 게슴츠레하게 라인에 부담 안주는 거 둘 중 뭐가 더 흉터 회복에 좋은걸까요? 의사 선생님들 도움 부탁드려요..ㅠㅠ (지금은 약 5개월차(4개월+반)입니다)
심한 스트레스와 불면증 피로가 있으면 염증수치가 오르나요? 진짜 많이 올랐을땐 75 적을땐 40 인데 저런 경우엔 신체에 따로 상처나 문제가 있는게 아닌데도 그럴 수 있나요?
방귀가 많이나온데 나쁜가요
폐렴 생기는 원인과 증상
이거 혹시 사마귀일까요??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는데 번지진않고 근데 갑자기 주변이 붉어진것같아서요
입술안쪽과 입옆에화상을입었는데 흉터가생길것같아서 연고를바를려하는데 입술안쪽살짝은 어떻게바르나요.?아니면 무엇을 발라야하나요
염증수치가 수시로 올라요 열이 안나는데도 오르구요 32까지 올랐다가 75? 까지 오른적도 있는데 너무 높았어서 응급실까지 갔다가 또 다시 내려가고 그 다음에 또 올라가고 내려가고 얼마안지나서 다시 올라가고 원래 염증수치가 이렇게 자주 오르나요?
21개월 아기가 수영장에서 약 10초정도 머리까지 잠겨 빠졌다가 바로 일으켜 세웠는데, 이후 잠깐 울다가 다시 아무일 없다는 듯 놀았습니다. 일으켜 세운 후 의식도 또렸하고 숨도 잘 쉬었습니다. 이후 마른 익사가 걱정되어 소아응급실을 찾아 산소포화도(97%) 검사와 청진 검사를 통해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차후 기침이나 호흡 곤란, 의식 소실, 쳐짐, 이유없이 피곤해할 경우 바로 내원하라고 이야기를 듣고 귀가 했습니다. 그런데 귀가 후 아기가 갑자기 37.9 정도의 열이 나기 시작합니다. 발열은 있으나 의식은 또렸하고 기침이나 이외 증상은 하나도 없습니다. 이럴 경우 다시 병원에 가서 엑스레이를 찍어봐야하나요 ?
23년 7월부터 24년 중순까지 우울증과 불안장애 등으로 정신과를 다니며 약물 치료를 받았습니다. 자해도 많이 했었고 자살충동이 들어서 약물과다복용을 한 적도 있습니다. 23년 말에 애인이 생기면서 점차 마음이 좋아져서 의사 선생님과의 상의 없이 치료를 중단했어요. 그런데 그 이후로 수시로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자해 충동이 매우 심하게 들어요. 아직 치료를 받아야 하는상태인 걸까요? 아니면 그냥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연스럽게 드는 마음인걸까요? 그리고 자해충동이 심하게 든다는 것을 제외하면 잠도 잘 자고 밥도 잘 먹고 일상생활에 지장은 없는데 그래도 치료가 필요한걸까요?
과수면증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