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라필, 구구정 처방 가능한가요?
타다라필, 구구정같은것도 닥터나우 처방되나요

타다라필, 구구정같은것도 닥터나우 처방되나요
중2고 고환을 만져보다가 말랑말랑한게 고환에 붙어있는거 같아요 이게 부고환인가요? 양쪽다 있습니다 엄청 말랑해요
남자가 10년이상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을 투여받을시 나타나는 증상
마지막 관계가 2년 10개월 전인데 헤르페스1,2형 피검사를 받았어요 거기서 둘다 음성 1기준 igg 0.07로 음성받았는데 전 헤르페스 걸린적이 없는거죠?
사타구니 피부 병변이 따끔거립니다. 가렵기도 하구요 1달 반전에 발견했고 비뇨기과 갔을때는 단순 피부병변이다라고만 하셨습니다. 그때까지는 따끔거리거나 가렵진 않았는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가렵고 따끔거립니다. 1달 만에 옆에 병변 조그마한게 하나 생겼습니다. 이거 뭘까요 마지막 성관계는 22년 1월입니다
사타구니에 병변이 생겼는데 따끔따끔거리고 가려워 약간 융기되어있고 표면은 다른 옆 융기되지 않은 피부와 비슷한 피부결입니다 평상시에도 종종 따끔거리는데 주로 옷에 닿거나 제가 만질때 따끔거립니다 병변의 경계가 뚜렷하고 표면은 옆의 피부주름과 똑같습니다. 그리고 1달 만에 옆에 비슷한 작은 병변이 추가로 생겼습니다 저의 과거력을 이야기 하자면 22년 1월 말이 마지막 관계였고 21년 11월에 클라미디아를 전 여자친구에게 옮아서 치료받았고 완치받았습니다 음낭습진은 어릴때부터 있었고 스스로 자연적으로 회복되었다 다시 생겼다 반복입니다 성병검사를 기간에 맞춰서 검사결과의 신뢰도가 높을때 받았고 모두 음성이였고 제가 받았던 성병검사는 std12종, 에이즈, 매독, 헤르페스2형 피검사, hpv병변이 없어서 브러쉬검사로 음낭, 기둥, 귀두로 받았고 모두 음성을 받았었습니다 도대체 왼쪽 허벅지 사타구니에 난 병변은 뭔지 궁금합니다
중2인데 오른쪽 고환이 왼쪽보다 크고 약간 핏줄같은게 많이 이어져있는거 같습니다 왜그런고죠
HPV주사는 성경험이 없을때 맞아야 좋다는데 성경험이있는 사람이 맞아도 예방효과가 있나요?혹시 성병에 걸려있는 상태면 맞으면 안되는건가요?남자입니다.
포경 18일차이고 소대부분이 덜 아물어서 병원에서 메디폼이랑 붕대감싸주고 5일뒤에 집에서 붕대 풀고 병원은 따로 안와도 된다하였습니다. 육안으로 확인했을때 약1cm가량 벌어진거 같았는데 한 번씩 따끔거리는 통증이 있습니다.정상적인건가요?그리고 5일 지나기전에는 붕대를 풀 수가 없는데 혹시나 벌어진 곳에서 피가 나와 메디폼 안에 있으면 상처가 회복 않되는건가요? 오늘 병원에서 소독할때도 피가 묻어나왔는데 메디폼을 붙히면 피가 새어나오지 않아 확인이 불가한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항문에 고위험군이 아닌 저위험군 곤지름도 방치하면 암이 무조건 생기나요?
남성입니다. 집 화장실에서 앉아서 소변을 보는데 소변줄기가 쎄서 나오던 소변이 변기 벽에서 튕겨가지고 다시 제 성기에 묻으면 어떤 질병이 걸릴 수 있을까요? 밖에서 소변기에 소변을 볼때도 나오던 소변이 벽에 튕겨서 소변이 제 성기에 닿으면 병에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앉아서 소변을 보는게 좋은지 서서 소변을 보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앉아서 소변을 보면 소변이 다 나오지 않아서 질병에 걸릴 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항문 곤지름 치료와 포경수술을 동시에 하게 된다면 하반신 마취로도 가능한 걸까요?
고환 크기가 달라요 중2인데 오른쪽이 왼쪽보다 커요 왜그런거죠
클라미디아 자연치유가능한가요?
클라미디아에 의한 전립선염이 std12종 검사로 검출될수 있나요?
전립선염 std12종 검출가능?
클라미디아에 의한 전립선염은 std12종으로 검출되나요?
요관결석 수술을했는데 잘부서지는 결석이라고 하시는데 결석종류가 멀까요?물어보고온다는게 그냥왔네요
수요일부터 소변을 못 참겠어요 소변이 조금 마셔워서 화장실 가려하면 이미 팬티에 소변이 조금 나와있어요 아직 41인데 벌써 요실금이 생긴걸까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은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는거 맞나요? 2.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없는 거 맞나요? 입증된 바도 없는거 맞나요? 3.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은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그 가능성이 더 낮나요? 이유는 뭔가요? 4.곤지름 잠복기의 최대는 얼마인가요? 5.hpv 바이러스가 수직감염 된 경우 2개월 안에 신생아에게서 바이러스가 소멸된다는데 맞나요? 6.hpv 바이러스는 자연소멸 되는건가요? 아니면 면역에 의해 억제되다가 면역 떨어지면 다시 활동하는 건가요? 7.자궁경부암 발생확률은 0.6%던데 hpv 바이러스 감염은 엄청 흔하잖아요 근데 어떻게 자궁경부암 발생확률은 0.6%로 낮나요? 8.hpv 없이 자궁경부편평세포암,자궁경부선암에 걸릴 확률은 어떻게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