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험군 HPV 감염은 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비성적 경로로의 감염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 구강성교, 질내성교, 항문성교 등 모든 종류의 성 접촉에 의해 감염되며, 비성적 경로로의 전파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
비성적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매우 제한적이며, 입증된 바는 거의 없습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무증상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는 치료법이 없으며, 증상이 있을 시에는 병변 부위를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법입니다.
-
비성적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 가능성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낮지만,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감염 가능성이 더 낮다고 여겨집니다. 이는 남성의 생리학적 구조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곤지름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2주에서 8개월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약 3개월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계 후 2~4개월 가량의 잠복기를 거쳐 병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HPV 바이러스가 수직감염된 경우, 신생아에게서 바이러스가 자연 소멸되는 경우가 많으며, 2개월 안에 소멸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학적 증거는 제한적입니다.
-
HPV 바이러스는 면역 체계에 의해 억제될 수 있으며, 많은 경우 자연 소멸됩니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해지면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인체에 감염된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면역체계에 의해 감염자의 90%가 2년 이내에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도 합니다.
-
HPV 감염은 매우 흔하지만,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이는 대부분의 HPV 감염이 자연 소멸되거나 면역 체계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고위험군 HPV의 지속적인 감염이 필요합니다.
-
HPV 없이 자궁경부편평세포암이나 자궁경부선암에 걸릴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대부분의 자궁경부암은 HPV 감염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발생 확률이 0.6%로 낮은 것은 HPV 감염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