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성 두통일 때도 편두통 약 복용 가능한가요?
편두통 진통제를 처방받았는데 긴장성 두통일 때도 편두통 약을 먹어도 되나요?
편두통 진통제를 처방받았는데 긴장성 두통일 때도 편두통 약을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고려원이비인후과의원 정광진 대표원장입니다.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은 서로 다른 유형의 두통이며, 편두통 약물은 주로 편두통의 특정한 메커니즘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긴장성 두통에는 반드시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편두통 약물은 두통의 일반적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긴장성 두통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긴장성 두통의 치료는 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나 근육 이완제와 같은 다른 종류의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편두통 약을 긴장성 두통에 사용하기 전에는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는 두통의 유형, 증상, 그리고 개인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만약 처방받은 편두통 약이 긴장성 두통에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면, 처방해 준 의사에게 문의하거나 약물을 처방받을 때 상담한 약사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가 치료보다는 전문가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안전합니다.
닥터나우 앱 내의 '건강매거진' 에서 도움이 되는 컨텐츠도 읽어보세요! :)
['지끈 지끈' 거슬리는 두통. 두통 원인과 증상, 편두통에 좋은 음식까지]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현재 두타 계열 카피약을 6개월째 복용중입니다. 이마가 워낙 넓게 태어났는데 그에 더불어 후퇴되는 것 같아 탈모약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두타 계열이 M자 탈모에 더 효과가 있다는 내용을 어디서 보고 두타 계열로 처방받아 복용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또 M자에는 둘다 미미하다 그러고 탈모가 심하지 않다면 피나 계열로 복용하면서 부작용 부담을 더는 것이 좋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물론 장기간의 임상이 필요한 만큼 논문들에서 이야기 하는 게 상이할 수도 있겠다고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은 어떤 쪽이 더 주된 의견인 지 궁금하고(m자에는 두타계열이 좋다 vs 비슷하니 탈모가 심하지 않다면 피나계열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두타에서 피나 계열로 약을 바꿀 때는 그냥 다른 주의사항없이 바로 바꾸면 되는 지 궁금합니다.
정수리 탈모인가요? 약은 먹고 있는데 최근에 같이 일하는 분이 정수리가 비어 보인다고 하셔서 방금 사진을 찍어보니 탈모같이 비어보여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m자가 있어 피나 6개월 먹다가 두타로 갈아타서 6개월째 먹는 20대 후반입니다 정수리가 탈모가 맞나요? 아니면 정상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수리 탈모로 인해서 3개월전부터 탈모약 복용중입니다. 처음엔 지인의 소개로 두타스테리드 계열의 약을 먹었는데 피로도와 가려움증이 있어서 피나스테리드 계열의 약으로 바꿨습니다.피로도가 덜 한것 같으나 효과가 두타보다 약한 것 같습니다.혹시 하루 하루 번갈아서 피나.두타 계열의 약을 먹어도 괜찮을 까요?그리고 피나와 두타 계열 약의 선택의 기준이 무엇인지요?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