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수치 54만, 큰 병원에 가야할 필요가 있을까요?
피검사를 받았는데 혈소판 수치가 54만이 나왔습니다 따로 큰병원에 가봐야할까요?
피검사를 받았는데 혈소판 수치가 54만이 나왔습니다 따로 큰병원에 가봐야할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혈소판 검사에서 정상 수치는 15만~45만/uL 로 54만이라면 수치가 살짝 높은 것으로 보여요.
혈소판 수치가 높을 때에는 골수 증식성 질환, 혈전증, 뇌경색, 급성 심근경색증 등을 의심해 볼 수 있으나, 운동을 과하게 하거나 경구피임약을 복용하거나 하는 몸 상태의 변화에 의해서도 변동이 있으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검사 결과에 대한 정확한 상담은 주치의와 추후 재검사가 필요할지 의논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저희친정아버지가 피검사하셨는데 혈소판이 709??라고나왔다고 높다고 피검사한 병원에서 큰병원가라고 했대요 인터넷 검색해보니 혈소판정상수치가 150000~450000 이더라구요 오늘그래서 큰병원가서 다시피검사하니 26만?이라고 했대요 자세한설명은안해주고 두달뒤 다시검사 하자고 하셨다고 하더라구요 처음병원애서709인데 709가 아니고 70만 인건가요,? 오늘결과는26만이라고해요 정상맞나요?수치가 조금내려갔다고 두달뒤 유전자검사???해야한다고했다고해요
골수 검사 후 혈소판 수치가 6만대에서 2만대 까지 떨어졌는데, 골수검사가 혈소판 수치를 저하시킬 수도 있는 건가요? 참고로 골수검사 후 붓기로 인해 진통소염제 주사와 항생제 주사를 맞았습니다. 진통소염제나 항생제 주사로 인해 혈소판 수치가 저렇게 급격하게 저하될 수도 있는 건지도 궁금하고요. 이렇게 혈소판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원인들로는 어떤 것들이 궁금하고, 혈소판수치가 낮을 때 주의사항과 혈소판 수치가 낮은 환자 간호법이 궁금하고요. 혈소판 수치 상승시키는 법이 궁금하며, 혈소판 수혈 부작용은 없는지, 혈소판 수혈 받은 뒤 주의사항도 궁금합니다.
1년간 매일 지속적으로 현미경적 혈뇨를 보게되고 가끔 육안적 혈뇨를 보게되면 혈소판 수치와 헤모글로빈 그리고 적혈구 수치가 2~3개월만에 수혈이 필요한 만큼 급속히 저하될 수 있나요? 참고로 소변검사 결과 RBC 10~29입니다. 혈뇨 증상과 함께 혈소판 헤모글로빈 적혈구 수치 저하가 동반되는 것과 관련된 질병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