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 아기 통잠자던데 잠이 안와요, 왜 그럴까요?
7개월된 아기 입면이 너무 힘들어요, 원래 통잠자던 아기인데 8시에 재우면 9시에 깨고, 또 11시에 겨우 재우면 30분 정도 자다 깨요, 아침에 늦게 일어나서그런건가해서 일찍 깨우고, 첫 낮잠도 30분 정도 재우고 낮잠 총 3시간 정도 자는데 그러네요 왜 그러는 걸까요, 소고기와 오트밀로 충분힌 철분도 먹이고 있어요
7개월된 아기 입면이 너무 힘들어요, 원래 통잠자던 아기인데 8시에 재우면 9시에 깨고, 또 11시에 겨우 재우면 30분 정도 자다 깨요, 아침에 늦게 일어나서그런건가해서 일찍 깨우고, 첫 낮잠도 30분 정도 재우고 낮잠 총 3시간 정도 자는데 그러네요 왜 그러는 걸까요, 소고기와 오트밀로 충분힌 철분도 먹이고 있어요
7개월 아기가 밤에 자주 깨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아기들은 발달상의 변화를 겪으며,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등으로 인해 수면 패턴에 변화가 생길 수 있어요. 아기가 밤에 잠을 자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낮잠을 조금 줄여보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낮잠을 길게 자면 밤에 잠을 자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아기의 수면 환경이 편안하고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조용하고 어두운 방,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관된 수면 루틴을 유지하는 것도 아기가 밤에 잘 자도록 도와줄 수 있어요.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같은 순서로 준비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아기가 스스로 잠드는 방법을 배우도록 도와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기가 잠들기 전에 약간 졸린 상태로 침대에 눕히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새벽에 깨더라도 최소한의 반응만 해주며 아이가 곧 다시 잠에 들 수 있게 해주세요. 건강 상태도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기가 아프거나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지, 감기나 치아가 나기 시작하는 것 등이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철분 섭취는 중요하지만, 철분 부족이 수면 문제의 원인인지 확실하지 않다면 소아청소년과에서 혈액검사를 통해 철분과 관련된 수치를 확인하고 처방 받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수면 패턴이 지속적으로 문제가 된다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보다 구체적인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마다 신장과 체중에 차이가 있고 먹성도 다르기 때문에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통해 수유나 이유식에 대해 상담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잠을 평소에 잘 못 자서 몸을 좀 피곤하게 하는 편인데 밖에서는 몸이 피곤하고 잠이 오는데 집에만 오면 몸이 피곤해도 잠은 안와요 왜 그런가요?
2개월 91일차 된 아기 통잠자면 안좋을까요? 낮에 총 680정도 먹고 쭉 통잠자는 아기거든요. 혹시 아기가 저혈당 올 수 있을까요? 깨워서라도 분유를 먹여야하나요?
밤에는 잠이 안오고 자고 일어나면 피곤하고 잔거 같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