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촬영 피폭량 계산 방법은?
머리 ct 촬영을 옛날에 했었는데 피폭량을 알고싶어 질문합니다. 유효선량 = 흡수선량×조직가중치(0.01) 이고 흡수선량이 알고싶은데, 병원에 물어보니 ct 촬영당 600~800 밀리 그레이 시버트 뭔가 말하긴 하는데, 밀리 그레이 시버트 600~800 × 0.01( 뇌 조직 가중치) = 6msv~ 8msv 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머리 ct 촬영을 옛날에 했었는데 피폭량을 알고싶어 질문합니다. 유효선량 = 흡수선량×조직가중치(0.01) 이고 흡수선량이 알고싶은데, 병원에 물어보니 ct 촬영당 600~800 밀리 그레이 시버트 뭔가 말하긴 하는데, 밀리 그레이 시버트 600~800 × 0.01( 뇌 조직 가중치) = 6msv~ 8msv 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AD
네, 병원에서 안내해주신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하신 것이 맞습니다. 뇌 CT 촬영 시 피폭량을 계산할 때 흡수선량을 조직 가중치와 곱하여 유효선량을 구하는데, 병원에서 제공한 흡수선량이 600800 밀리 그레이라면, 뇌의 조직 가중치인 0.01을 곱하여 유효선량을 계산하면 68 밀리시버트가 됩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언급했듯이, 뇌 CT의 경우 대략 6-10mSv 정도의 피폭량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6mSv에서 8mSv 사이라면 일반적인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평균적인 값이며, 실제 피폭량은 촬영 조건이나 기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더 정확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촬영을 처방한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주 전 뇌ct와 조영제 복부 ct를 촬영했는데요. 오늘 폐ct 촬영해도 괜찮을까요? 피폭 때문에 우려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8개월 아기가 낙상으로 머리쪽 엑스레이를 연속으로 10장정도 촬영했는데 엑스레이 피폭량이 보통 0.1 이라도 하더아구요. 머리 ct는 1-2라도하던데 엑스레이 10장이면 저선량 머리ct 1회 방사선량과 동일하게 피폭된건가요? 몸 다른 부위 따로 차폐도 안했고.. 방사선 노출이 너무 걱정돼요ㅠㅠㅠㅠ 아직 대천문도 안닫혔고.. 한번에 연속 10번 엑스레이로 인한 부작용이 있을수있을까요
조영제 없이 찍는 복부ct랑 조영제 맞고 찍는 복부ct랑 피폭량이 차이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