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약
간 수치가 높아서 한달전 약을 처방받아 먹고 있는데. 아직 한달이 안된 상태고 간기능검사에서 간수치 호전반응이 나왔습니다. 아직까지는 정상 수치는 아니지만 처방받은 남은약을 다 먹어야 하나요?

간 수치가 높아서 한달전 약을 처방받아 먹고 있는데. 아직 한달이 안된 상태고 간기능검사에서 간수치 호전반응이 나왔습니다. 아직까지는 정상 수치는 아니지만 처방받은 남은약을 다 먹어야 하나요?
알부민은 어디에서 만들어지고 역할이 뭔가요?
변이 풀어지거나 설사.
우루사, 밀크씨슬, 아리기닌을 먹고있는데 신체검사로 혈액검사를 할 예정이라 이것들이 혈액검사 수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긍정적인 방향인지, 부정적인 방향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밀크씨슬, 우루사, 아르기닌을 챙겨먹고있는데요 한달뒤에 신체검사로 혈액검사를 해서요 혹시 저런 것들의 성분이 혈액검사를 통해 검출 될수가 있나요?
제가 계속 설사를 해서 설사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변을 볼 때 힘을 오래 주거나 아랫배에 통증이 오는 건 변비 증상인 거 같더라고요. 저는 계속 설사를 하지만 변을 볼 때 힘을 엄청 줘야 하고 아랫배에 통증이 계속 있습니다. 혹시 설사처럼 보이는 변비도 있을 스 있나요?
처음에 목감기로 보고 약을 받아왔는 데 계속 설사를 하고 토까지 하며 고열,복통,두통이 왔어요 감기인 줄 알고 받아온 약을 2번 먹으니까 열은 많이 내리고 두통도 많이 줄었어요 근데 설사는 안 맘추고 복통이 심해요 약을 새로 받아야할 것 같은 데 아파서 나가기가 그래요... 복통,설사를 안전하게 끝내줄 약이 없을까요.... (학생입니다..) 그리고 장염이면 과일은 못 먹죠..? 너무 먹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현재 해외 여행 중 설사와 두통(발열) 증세가 나타납니다. 가지고 있는 상비약이 타이레놀 리어스탑 보유 중 인데 해당 두 약을 같이 복용해도 괜찮을까요?
아이 감기약인데. 월요일 오후에 처방 받고. 라시도필캡슐을 처방때 한번먹이고 냉장보관이라 냉장고에 넣어두고 약먹일때 다른 약만 먹이고 라시도필은 까먹고 안먹였어요.ㅠㅠ 아침 저녁으로 먹이는건데 아이가 오늘 기침하면서 토했는데. 토치우다가 생각이 불현듯 들어서 혹시 라시도필을 안먹여서 토한건가요?ㅠㅠ 너무 미안하고 아이가 잘못될까봐 걱정되요ㅠㅜ
암4기나 말기되면 통증이 심한가요?
변이 시원하게 나오지않지고 거품이섞인변이 나와요. 설사도하고 속도 안좋고 왜그런걸까요?
알코올성 간질환 술 금주하면 좋아지나요
현재 중1인데 원래도 건강에 관심이 많았는데 오랜만에 격한운동을. 했다가 심장에 무리가 오.는. 느낌이들면서. 가슴이 아파. 왔습니다 좀 쉬니 나아지더라구요 병원 에서 위염 진단 받긴 했는데 걱정되요
영화 보고 싶은데 뭐 추천해줄거 있어?
오랜만에 격한 운동을 했는데 가슴이 쿵쾅거리고 심장에 무리오는게 느껴지고 가슴이 아픈 기분이에요 어떡하죠?
배가 찌르듯이 아픈데 무슨 약을 먹어야하나요?
대변검사를 하면 염증수치를 알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염증 수치에는 위의 염증(위염)도 포함되는 건가요? 아니면 장염같은 염증만 알 수 있는 건가요?
하루한끼먹는데 그한끼도 다안먹어요 덥기도하고 무엇보다 배가 가스가 엄청차서 땡기고 불편해서 밥먹기가 싫어요 체중도줄고 지금 변비가생긴거같은데 이악순환을 어떻게하죠 참고 먹어야하나요? 앉아있기불편할정도로 가스가차요
안녕하세요. 피검사에서 에이즈 양성 반응이 나왔는데,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신속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왔습니다. 이 경우에는 에이즈가 아닌 건가요? 며칠 전 과잉치 발치를 위해 치과를 갔고 시술 전에 피검사를 해야 한다고 해서 피를 뽑았습니다. 근데 염증 수치가 높고 에이즈가 양성이라고 하시더라구요.. 제가 당시 질염 증상이 있긴 했습니다. 저는 성관계를 하지 않은지 1년이 넘었고, 에이즈에 감염될만한 행동을 한 적이 없어서 너무 불안한 마음에 보건소 두 곳에 가서 신속검사를 했습니다. 두 곳 모두 음성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왜 피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는지 너무 궁금하고 혹여나 에이즈가 아닐까 너무 불안합니다.. 요즘 여드름 때문에 로아큐탄을 복용 중이고, 그 외 기본적인 영양제(유산균, 비타민 c, d, 오메가3, 마그네슘)만 복용하고 있습니다.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사타구니쪽에 대략 이주전에 동글동글한 임파선염?이 생겼습니다. 찾아보니 저절로 낫는다해서 그냥놔뒀는데 초기에는 누르면 약간의 통증이 있었지만 지금은 없고 크기도 줄었습니다. 병원 안가고 그냥 지내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