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기능 혈액검사 결과에 불만족, 다른 병원에서 재검사를 해도 괜찮을까요?
간기능 혈액검사 했는데. 결과가 시원치.않아서 재검사 다른병원에서 하려고 하는데요. 괜찮을까요?

간기능 혈액검사 했는데. 결과가 시원치.않아서 재검사 다른병원에서 하려고 하는데요. 괜찮을까요?
콩팥 수치가 조금 높게 나왔다는데 낮추는 방법 있을까요?
회사에 입사를 해야해서 약 3일전에 간 수치 검사 를 했는데 감마지피티의 수치가 106이 나왔어요 그 후 금주와 흡연 횟수를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오 늘 간 수치 검사를 다시해보니 감마지피티의 수치 가 126이 나왔더라고요 혹시 어떤 문제가 있을까 요? Ast와 alt의 수치는 모두 낮아졌습니다.
어제 간수치 검사 했는데 정상소견으로 나오는데 감마 지피티만 300이 넘어서 나왔거든요. 그런데 다시 혈액검사 해봐야 하나요.
황달이 생기면 눈흰자가 노래지고 소변색 갈색 진해지나요?
2년전 내시경상 깨끗한 위 확인후 다음 내시경에서 조기위암을 발견할 확률은?
안녕하세요 6개월 아기 엄마입니다. 시어머님이 잠복결핵으로 판정이 났고, 지난주부터 3개월을 목표로 약을 드시고 계세요. 소아과에서는 약을 다 먹고 만나는게 맞다고 하시는데, 어머님이 다니는 보건소에서는 만나도 된다고 했다고 합니다. 정말 괜찮은건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가슴이 답답하고 팔에 피가 안 통하는 느낌이 들다가 쭉 통하는데 어떤 증상인가요? 호흡곤란은 없습니다
건강검진 주기가 2년이 이유가 무엇인가요. 2년마다 건강검진을 하게되면 큰 병으로 갈 수 있는 전임병변을 끊어내거나 예방할 수 있나요? 내시경 같은거는 1년마다 해도 괜찮지 않나요?
AST 38 ALT 26 ALP 88 감마지피티 343 알부민5.5 빌리루빈 1.3 혈소판 326 혈액응고기능 94% 13.3sec INR 1.03 간경화로 넘어간건가요?
알레르기비염이 너무 심해요 항히스타민제 하루에 3알먹어도 가려워요 콧구멍이랑 코 주변이 너무 가렵네요 어떻게해야할까요?
소염진통제가 몸에 붓기 부종을 유발하기도 하나요?
평소에 매일 유산균을 챙겨먹어도 효과가 없는데(여러 종류 먹어봄) 병원에 가면 저한테 맞는 유산균 처방 받을 수 있나요?내시경을 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초기 간경화가 진행상태이면 나타나는 증상은 뭐가 있나요?
간경화이면 알부민 수치와 혈소판 수치 감소 하고 황달 수치 올라가나요.
10월2일날 대하구이 먹고 3일날 부터 설사 하더니 지금까지 계속 설사하고 이젠 노란물?도 같이 나와요 처음엔 명치쪽 거부룩함정도 있았는데 명치 통증이 같이 와요 ㅠ 명치쪽 통증,설사(노란물도 같이 나옴) 원인이 뭘까요 ㅠㅠ
레드보르정(레보드로프로피진)이라는약이 일반적으로 안전한 약인가요?
남자친구가 대상포진에 걸렸는데 수포 나고 약 먹은지 1주 정도 됐고 수포는 딱지가 진 상태입니다 수포 부위는 직접 접촉하지 않았는데 성관계를 했습니다 키스도 했는데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타액으로도 감염된다 들었어요. 근데 또 타액으로 감염되지 않는다는 정보도 있고 수포가 딱지 진 상태면 전염성이 매우 낮다는 얘기도 있어요. 그래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1. 전염 가능성이 있을까요? 2. 어렸을 때 수두 앓은 적은 없는데, 바이러스가 만약 옮으면 무조건 수두에 걸리나요? 아니면 그냥 아무 일 없이 지나갈 수도 있는 건가요?
갑자기 설사를해요
남자친구가 대상포진에 걸렸는데 수포 나고 약 먹은지 1주 정도 됐고 수포는 딱지가 진 상태입니다 수포 부위는 직접 접촉하지 않았는데 성관계를 했습니다 키스도 했는데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타액으로도 감염된다 들었어요. 근데 또 타액으로 감염되지 않는다는 정보도 있고 수포가 딱지 진 상태면 전염성이 매우 낮다는 얘기도 있어요. 그래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1. 전염 가능성이 있을까요? 2. 어렸을 때 수두 앓은 적은 없는데, 바이러스가 만약 옮으면 무조건 수두에 걸리나요? 아니면 그냥 아무 일 없이 지나갈 수도 있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