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도에펜드린정 복용 후 입마름과 혈압 증가, 약을 중단하면 증상은 사라질까요?
안녕하세요 코감기+코질환때문에 슈도에펜드린정 성분 경구약물을 하루에 1알 2주 복용했는데 입마름(구강건조) 이 굉장히 심합니다 그리고 이 성분이 혈압도 높일수있다는데 이거 약 끊으면 부작용 증상 전부 사라지는건가요? 제 경우에 이 성분의 약을 끊는게 맞나요? 현재 코랑 목사이 이물감 증상만 남았습니다 미각도 저하된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코감기+코질환때문에 슈도에펜드린정 성분 경구약물을 하루에 1알 2주 복용했는데 입마름(구강건조) 이 굉장히 심합니다 그리고 이 성분이 혈압도 높일수있다는데 이거 약 끊으면 부작용 증상 전부 사라지는건가요? 제 경우에 이 성분의 약을 끊는게 맞나요? 현재 코랑 목사이 이물감 증상만 남았습니다 미각도 저하된 상태입니다
그냥 배꼽 바로 밑 아랫배를 눌렀을 때, 다른데는 안 아픈데 오른쪽 아랫배의 특정 한 지점(오른쪽 아랫배에서 골반쪽)만 아픈 경우 맹장염일 수 있는 건지 아님 과민상대장증후군인지 아님 뭐일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오직 배꼽 바로 아랫배를 누르면 특정 오른쪽 아랫배가 꽤 아파요 먹은 거 이틀동안 하나도 없는데 꾸룩거리고요 임신극초기 증상일 수 있나요?
최근 2-3일동안 식사만 하면 우측복부 통증이 있어요 (아마 간 위치 쯤?) 위가 아프면 위경련이나 소화불량이라 생각이 들텐데 간쪽이 통증이 있어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평소에는 괜찮다가 식사만 하면 그래요.
이거 무슨 증상인가요? 아침에 설사가 온것처럼 두세차례 묽은 변을 보고 하루종일 배에 뭔가 찬것처럼 느낌이 오는데 정작 변기에 앉아도 딱히 나오는건 없고 그냥 투명한 점액만 조금 나오네요... 그냥 설사때문에 배가 아팠던 건가요?
혈소판 수치가 낮으면 살짝 부딛쳐도 피나나요?
알부민이 떨어지면 어떰 증상이 생기나요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Alkaline Phosphatase
Alanine Aminotransferase의 뜻은?
Aspartate Aminotransferase 뜻은?
보건소 간기능검사 검사종목 뭐가 있나요?
심혈관 진단 검사는 초음파를 하나요 ct를 찍나요? 혈액검사도 하나요?
가만히 있어도 가슴이 뛰고, 팔에 무력감이 들고, 가슴 주변이 따끔거립니다. 큰 소리를 듣거나 흥분감이 들면 가슴이 철렁이는 느낌도 들고요. 보통 이런 병을 무어라 부르나요?
30kg을 감량했는데 요요현상으로 8kg이 쪄버렸어요.. 포기하기에는 이르겠죠? 다시 감량하면 돌아갈수있겠죠?
간기능 검사 소견 부탁 드립니다. 간초음파 검사는 아무 이상 없이 나왔습니다. WBC 6.4 LYMPHOCYTE 38.4 MONOCYTE 7.8 SEGMENT(GR) 53.8 RBC 4.76 헤모글로빈 15.3 Hematocrit 43.7 Mcv 91.8 Mch 32.1 혈소판 293 Protein 7.8 알부민 4.2 총 빌리루빈 0.9 AST 31 ALT 26 GTP 14 BUN 17 Creatinine 0.8 토탈 콜레스테롤 204 LDL 콜레스테롤 106.6 NON-HDL 콜레스테롤 123 Triglyceride 82 HDL-cho 81 LDL-cho 107 간기능 검사 소견 부탁드립니다.
갑상선 항진증 약을 먹고있습니다 머리가 매일 너무 많이 빠지고 있어요 탈모관련병원은 너무 돈이 많이 들것같아 걱정이 됩니다 항진증약을 먹으면서 탈모 예방 할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제가 얼마 전에 가슴이 이유없이 두근거리고 힘이 빠지면서 흉통을 느껴서 동네에 있는 심장 전문 내과에서 진료를 보았습니다. 심전도 검사, 24시 심전도 검사, 심장초음파까지 모두 보았는데요. 심전도 검사에서 전에 64 정도 나왔던 수치가 90으로 올라가 심장초음파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심장초음파 검사를 해보시니, 심장에는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내리셨습니다. 심혈관 Ct를 해봐야하지 않겠냐는 질문에는 젊은 나이에 필요가 없다고 하셨고요. 그런데 그 뒤로도 이유가 없는 심장 두근거림과 흉통이 잦아들 기미가 보이질 않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심혈관 Ct를 찍어야 하는 걸까요? 혈압은 병원에서는 160대에 이완기 96 정도로 나옵니다. 집에서 재면 130대에서 150대를 왔다갔다 하고, 이완기는 보통 83에서 94 정도 왔다갔다 합니다.
용종 제거 후 당일 밥과 고기를 먹어야 할 일이 있는데 아침 9시에 제거해서 지금 10시40분 인데 먹어도 괜찮을까요?
눈 앞이 깜깜해지고 속 안 좋아지고 쓰러질 것 같은 증상에 병원갔더니 미주신경성실신이라고 해서 피감사를 했는데요 다 정상인데 염증수치만 4.5가 나왔어요 정상의 8배라는데 미주신경성실신이 염증이 원인이 되기도 하나요? 아니면 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봐야할까요 만약 종합병원에 가야하면 어느 과를 가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