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소다인 오리지널 플러스 치약의 연마제 성분과 양은 어떻게 되나요?
센소다인 오리지널 플러스 치약에는 어떤 연마제 성분이 있는지 정확히 설명해주시고, 타 치약들에 비해서 연마제 성분이 많은지 적은지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센소다인 오리지널 플러스 치약에는 어떤 연마제 성분이 있는지 정확히 설명해주시고, 타 치약들에 비해서 연마제 성분이 많은지 적은지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오늘 오후 3시 40분~4시쯤 오른쪽 위아래 사랑니 두개 발치 했는데요 아랫쪽 사랑니가 매복이라 너무너무 아파서 저녁 7시에 솜 바로 빼고 (다행히 솜 빼고나서 봤는데 피는 더 안나더라구요) 약 먹었는데도 아까보단 덜하지만 살짝의 통증은 있더라구요 그리고 어금니도 갑자기 아프고 두통이랑 오한이 너무 심한데 원래 이런가요..?🥲😣
몸에 근육을 키우는게 턱관절에 도움이 되나요?
사랑니 통증이 조금있는데 담주 수욜에 여행일정이 있습니다. 빼고 가는게 좋을까요 갓다와서 빼야 할까요?여행이 알주일도 안남아서 고민이네요...
평소에 물가글-양치-치실-워터픽순으로 양치하는데 이 순서 맞나요? 아니라면 더 올바른 순서 알려주세요........
잇몸부은데 타이레놀 복용해도 되는지요
충치 레진 치료 후 당일날 바로 가철식 유지장치 착용해도 되는지?? 레진치료후 식사나 양치 언제부터 가능한지?
4일전 어금니 발치 후 임플란트 바로 식립하고 오ㅓㅆ는데 붓기나 통증은 없는데 피맛이 나서보니 소량씩 피가 나는데 괜찮은 건 가요!!?
임플란트 수술 후 첫날에는 괜찮았는데 둘째날 부터 잇몸이 부었습니다 통증은 없는데 입을 크게 벌리면 부은 곳이 느껴집니다 처방약은 먹고있는데 자연스러운 현상인가요? 냉찜질을 하면 좀 빨리 가라앉을까요?
오른쪽 2대구치 가위교합인것 같습니다. 28살 남자이구요. 예전부터 가위교합 있던것 같은데 의사들도 딱히 교정을 해라 라고 말안하더라구요. 당장 어제도 스케일링 했구요 따로 아픈거 없으면 걍 살아도 문제 없겠죠?
치과에서 치주염 치료를 안 해줘서 잇몸이 심하게 내려갔어요. 외상으로 인해 잇몸이 철에 찔리면서 피가 엄청 나서 당시 3일 후에 병원에 갔어요. 근데 연고같은 별 다른 조치도 없이 검진만 하고 보낸 후 4달이 지났는데 잇몸이 심하게 내려간 그대로예요. 치간도 그대로 벌어져버려서, 한쪽 치간에는 치실이 빡빡하게 들어가는데 잇몸 상처로 치주염 걸려 내려간 곳은 치실이 헐렁하다 못해 공간이 남아요... 이거 영원히 자연치유는 안 될 거 같은데, 치간 잇몸을 재생시키거나 붙일 수 있는 치료는 없나요? 의사 소견은 내려간 잇몸자리가 좁고, 작은 잇몸손실은 메울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는 하지만... 매일 음식 먹는게 끔찍해질 정도로 계속 끼고, 치실 없으면 안 빠진 이물질로 이빨이 썩을 수밖에 없는 인생이라니 너무 끔찍해서요. 치간 잇몸같이 적은 잇몸을 재생시킬 수 있는 치료 방도는 없을까요?
교정 2년이 넘었고 마무리까지 3개월 정도 남았습니다. 치아 배열은 거의 끝났다고 하셨는데 한달 전부터 모든 고기종류나 회 새우 소세지 등을 먹으면 너무 통증이 심하게 옵니다. 세군데 정도가 불편한데 양쪽 맨 어금니 뒤쪽하고 그 앞에 있는 어금니 사이의 잇몸, 오른쪽 송곳니와 어금니 사이의 잇몸에 통증이 심하게 와요. 밥을 먹는 도중에 너무 아파서 밥먹기 포기할 정도고 하루이틀 정도 가다가 사라집니다.. 못먹는 것도 많고 갑자기 이렇게 통증이 생기니 불편하고 너무 걱정이 됩니다. 치아배열이 거의 끝나긴 했지만 아직 치료중에 있고 몇개월 정도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이럴 수 있는건가요? 벌어진 틈이 있다기보다는 약간의 미세한 틈이 생겨 거기에서 계속 통증이 발생하는거 같습니다.. 입천장에 스크류를 식립하여 고무줄로 당기고 있는 상황이구요.. 장치나 잇몸 염증과 같은 문제는 아니라고 합니다. 보통 이럴 수 있나요?
오늘새벽부터갑자기 잇몸이너무 아프고 많이부었습니다 고통이 심한데. 얼굴전체 머리까지아픈데 어떤증싱인가요,
매복사랑니 발치 4일후 우동같은건 섭취가능 한가요
4일 전에 바른 사랑니 발치 후 현재인데, 윗 사랑니 발치 부분에 뭔가 볼록(?)하개 튀어나와있어요.. 통증은 없고 주변 어금니들 앙 다물었을때 약간 시리고 통증이 있으나 피도 안나고 괜찮습니다. 조 동그랗게 주머니처럼 튀어나온게 무엇이죠? 봉합은 안했습니다
신경치료를 했는데 이제 본뜨는 작업만 남은 상태입니다. 첫번째 신경제거와 근관장 길이 잴 때는 하나도 안아팠고 그 다음날까지도 안아팠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날 아침에 양치할때 약간 욱신거림, 혀로 누를 때 욱신거림이 있었구요. 그 날도 치료받는 날이었는데 이때는 충전재 채우는 과정에서 극심한 아픔이 있었습니다. 살살 해주시면 괜찮았구요. 선생님 말로는 염증이 아직 안가라앉아서 아픈거라고 하시고, 안쪽에 구멍 메우는 곳이 좀 더 커서 아픈 사람이 있을 수 있다고 하십니다. 신경은 깔끔하게 제거 됐고 욱신거림은 차차 나아질거라고 하시는데 어제 마지막 치료하고 아직도 욱신거림이 있어요. 가만히 있으면 아예 안아픕니다. 이거 본 떠도 괜찮은 걸까요? 덱시부펜? 먹고 있는데 안아파서 안먹다가 요 욱신거림 때문에 먹고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라기에 혹시나 염증완화에 도움이 될까 하구요.
치과 치료 후 통증때문에 타이레놀 먹었는데 살쪄?
5년정도 지난 크라운이 치실을 하다 갑자기 떨어졌는데, 떨어진 치아 부위를 보니 검게 변색?된 건지 충치같은게 보이더라구요. 크라운을 씌웠던 부분의 치아색이 어두운 색이면 무조건 충치로 봐야하나요? 그렇다면 충치치료 후 크라운을 새로 만들어야 하나요? 사진으로 해당부위 첨부했습니다.
목을 뒤로 과하게 젖히면 하관이 이사해지거나 더 커질수있나요? 목이 두꺼워진다거나..
목을 옆으로 뒤로 젖히면 교근이 튀어나와보이는데 과하게 목을 재꼈는데 교근이 모양이 이상해지고 더 커진거 같은데 목을 뒤로 과하게 젖혔다고 해서 화관이 이상해지거나 커지거나 목이 두꺼워질수있나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