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월 아기의 미열과 코막힘, 입원치료가 필요한가요?
18개월 아기구요 2주전에 리노바이러스와 염증수치가 높아 입원치료하고 퇴원했는데 축농증과 코막힘이 심해 약을 5일분 더 먹고있는데요 , 갑자기 어제 밤부터 37.6, 38.0 미열이 나는것같아요. 컨디션은 나쁘지않았는데.. 열은 기본 3일은 난대서 버텨야할지 입원치료해야할지 고민됩니다 코감기 먼역은 어찌 올리나요...
18개월 아기구요 2주전에 리노바이러스와 염증수치가 높아 입원치료하고 퇴원했는데 축농증과 코막힘이 심해 약을 5일분 더 먹고있는데요 , 갑자기 어제 밤부터 37.6, 38.0 미열이 나는것같아요. 컨디션은 나쁘지않았는데.. 열은 기본 3일은 난대서 버텨야할지 입원치료해야할지 고민됩니다 코감기 먼역은 어찌 올리나요...
18개월 아기의 미열과 코막힘 증상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군요. 아기의 상태와 증상의 진행 정도에 따라 입원치료의 필요성을 판단하시면 됩니다. 리노바이러스 감염 후 염증수치가 높아 입원치료를 받았고, 퇴원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면, 아래의 기준으로 입원치료의 필요성을 판단해보세요. 1. 아기의 일반적인 상태: 아기가 활발하고, 수유(또는 식사)를 잘하며, 활동성이 좋다면 가정에서 지속적인 관찰과 대증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2. 열의 지속 기간과 높이: 미열이 37.6도에서 38.0도 사이라면 경미한 열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열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38.5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3. 부가적인 증상: 호흡곤란, 지속적인 기침, 식욕 부진, 탈수 증상, 활동성 감소 등 다른 우려되는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4. 기존의 치료 반응: 처방받은 약을 5일간 복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치료 계획을 재평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코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탈수를 방지하고 코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습도 유지: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면 코 점막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코 세척: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코 세척은 코막힘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입원치료의 필요성은 아기의 상태를 직접 평가할 수 있는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통해 결정되어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증상과 변화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저희 아이가일주일넘게 인후염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는데요 감기가 심할때도 열이 없던 아이가 어제아침부터 37.2도 로 미열이 있더니 얼집가서 38도가 넘어서 선생님이 챔프해열제를 먹이셨데요 약기운으로 1시간이상 자고 일어나니 37도 로 떨어지긴했는데 자꾸 칭얼대고 안아달라고 만 하네요 어젯밤엔 챔프 파랑이를 먹이고 잤고 아침에 체온을 재보니 37도 네요 지금까지 계속37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정상체온은 아닌것같아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18개월 아기가 RS바이러스 같다고 하시는데 인터넷에서는 입원해서 차도를 지켜봐야 하는 병이라고 하는데 병원에서는 처짐증상이나 호흡곤란이 있으면 응급실에 가라고 하네요 지금 섹섹 거리는 숨소리와 콧물 심한기침이 있고 열이 계속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보통 저녁에 39도 찍구요 낮에난 미열로 내려가요. 생각보다 노는건 잘 노는데 집에서 지켜봐야 할까요? 입원을 하는게 더 좋을까요?
10개월 아기에요 rsv랑 리노바이러스로 입원치료했어요 일어나서 놀땨는 괜찮은데 왜 잘 때 산소포화도가 자꾸 떨어질까요..? 아직 덜 나은 걸까요..? 아님 지금 코막힘이랑 가래가 신한데 그것 때문 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