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 환자가 피해야 할 약 성분은 무엇인가요?
30/남/크론병 인데 휴미라펜주 아달리무맙40ml 2주에 한번 맞고있습니다. 비상약 알아보는데 병원에서 무슨 성분땜에 게보린은 안되고 타이레놀먹으라하던데 무슨성분때문인가요?? 감기약, 소화제, 배탈났을때 등등 비상약을 사놓으려는데 피해야될 성분이 뭔가해서요ㅜㅜ
30/남/크론병 인데 휴미라펜주 아달리무맙40ml 2주에 한번 맞고있습니다. 비상약 알아보는데 병원에서 무슨 성분땜에 게보린은 안되고 타이레놀먹으라하던데 무슨성분때문인가요?? 감기약, 소화제, 배탈났을때 등등 비상약을 사놓으려는데 피해야될 성분이 뭔가해서요ㅜㅜ
AD
크론병 환자가 피해야 할 약 성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크론병은 염증성 장질환으로, 특정 약물이 장 점막을 자극하거나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게보린과 같은 약물: 게보린에는 피라졸론 계열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은 위장관 점막을 자극하거나 염증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어 크론병 환자에게 권장되지 않습니다. 병원에서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을 추천한 이유는 타이레놀은 상대적으로 위장관에 자극이 적어 안전한 진통제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감기약: 감기약 중에서도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성분이 포함된 약물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스피린 등이 포함된 약물은 장 점막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감기약을 선택할 때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포함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소화제: 일반적으로 소화제는 크론병 환자에게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자극성 성분이 포함된 약물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을 과도하게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배탈약: 배탈약 중에서도 비스무스 성분(예: 비스무스 서브살리실레이트)이나 항생제 성분이 포함된 약물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 상태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탈약을 선택할 때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세요.
결론적으로, 크론병 환자가 피해야 할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상약을 준비하실 때는 반드시 약사나 의사와 상담하여 안전한 약물을 선택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약물 사용 전에는 항상 전문가와 상의하여 본인의 상태에 맞는 약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다낭성난소증후군에 설탕, 카페인, 우유, 술 이중에서 안좋은 음식은 뭔가요?
역류성식도염이 있는데 피해야 할 음식같은건 어떤게 있을까요
이석증 재발되서 오늘 아침에 이비인후과 다녀왔는데 이번에도 검사했을때 좀 쎄게 검사결과가 나왔다고 해서요 이석증 왔을때 먹으면 안되는 음식 있을까요? 어떤 음식을 피해야 할지 모르겠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