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측성 안면경련 진단과 수술 가능 여부
눈이 감기면서 입이 같이 수축하는 단계 까지 가야 반측성 안면경련으르로 진단되는건지요. 7번신경 누르는게 없어도 육안진단으로 하나요 아니면 간헐적 떨림이라도 7번신경 문제 있으면 진단이 내려져 수술가능한건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눈이 감기면서 입이 같이 수축하는 단계 까지 가야 반측성 안면경련으르로 진단되는건지요. 7번신경 누르는게 없어도 육안진단으로 하나요 아니면 간헐적 떨림이라도 7번신경 문제 있으면 진단이 내려져 수술가능한건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반측성 안면경련은 대개 처음에는 한쪽 눈 아래 부위가 떨리기 시작하다가 아래 입 주변으로 내려오게 되는 전형적인 경과를 보여요. 이는 안면신경이 의식 중추인 뇌간에서 나오기 때문이에요.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또한, MRI나 CT와 같은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안면신경을 압박하는 혈관이나 다른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육안으로만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간헐적인 떨림이 있더라도 안면신경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반측성 안면경련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수술 가능 여부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증상의 정도, 그리고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미세혈관 감압술(MVD, Microvascular Decompression)이 있으며, 이는 안면신경을 압박하는 혈관을 이동시켜 경련을 완화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 수술이 적합한 것은 아니며, 수술에 따른 위험과 이득을 충분히 고려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로는 보톡스 주사가 있으며, 이는 경련을 일으키는 근육에 주사하여 일시적으로 근육을 마비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입니다. 반측성 안면경련의 진단과 치료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 신경과 전문의나 신경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자세한 검사와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엠알이로 본 혈관7번 눌린여부 ,육안으로본 전형적 양상 ,근전도, 이세가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반측성 안면경련으로 진단을 하나요 ?그래도 진단시 제일 중요한 요소는 어떤건가요?
안면신경에 대해 하나만 더 여쭤볼께요. 그럼 반측성 안면경련을 판단할때 혈관여부 보다는 육안으로 보는 전형적인 반측성안면경련 양상을 판단기준으로 보아야 하는지요?
간헐적 얼굴떨림이 양측으로 있어서 반측성 안면경련이 양측으로 올경우 전형적인 진행양상과 만약 편측으로 올경우에도 양측으로도 증상이 나타나는지 여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