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측성 안면경련 진단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안면신경에 대해 하나만 더 여쭤볼께요. 그럼 반측성 안면경련을 판단할때 혈관여부 보다는 육안으로 보는 전형적인 반측성안면경련 양상을 판단기준으로 보아야 하는지요?
안면신경에 대해 하나만 더 여쭤볼께요. 그럼 반측성 안면경련을 판단할때 혈관여부 보다는 육안으로 보는 전형적인 반측성안면경련 양상을 판단기준으로 보아야 하는지요?
반측성 안면경련의 진단 기준은 주로 임상 증상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과 신경과 전문의의 진찰을 통해 진단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들이 관찰됩니다: 1. 일방적인 안면 근육의 불수의적인 경련 2. 경련이 눈 주위에서 시작하여 점차 입 주위로 확산되는 양상 3. 경련이 자발적으로 발생하거나, 감정 변화, 대화, 식사 등으로 유발될 수 있음 4. 수면 중에는 경련이 감소하거나 사라질 수 있음 진단을 위해 추가적으로 영상 진단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뇌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자기공명혈관영상(MRA)을 통해 안면신경 주변의 혈관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혈관이 안면신경을 압박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혈관 압박이 반측성 안면경련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혈관의 존재 여부도 중요한 진단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단 시 육안으로 보이는 전형적인 반측성 안면경련의 임상 양상이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혈관 압박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임상 증상이 반측성 안면경련에 부합한다면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불분명하거나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통해 적절한 검사를 하는 것으로 진료 시 필요한 검사가 결정되기에 정확한 안내가 어려운 점 양해 부탁 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혹시 반측성 안면경련은 한쪽만 그런다 하는데요 반측성으로 진단하는경우에도 증상이 양측으로 오는 경우도 있나요 말그대로 양측성 안면경련이 아닌 반측성임에도 양측으로 오는 비특이적으로 오는 경우가 있는건지 여쭤봅니다 아니면 번측아면 한쪽만 반드시 있는건지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반측성 안면경련이 두물긴 하지만 만약 양측으로 올경우는 진행양상이 어떻게 되는지요~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눈이 감기면서 입이 같이 수축하는 단계 까지 가야 반측성 안면경련으르로 진단되는건지요. 7번신경 누르는게 없어도 육안진단으로 하나요 아니면 간헐적 떨림이라도 7번신경 문제 있으면 진단이 내려져 수술가능한건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