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소아과 이외 진료 후 아이가 가렵다고 하는데 수액 영향일까요?
어제 성탄절이라 소아과가 아닌 진료하는 가까운 의원 가서 아이가 해열수액과 기침 멈추게하는 수액 2개를 맞고 왔습니다. 맞고 와서 아이가 계속 등이 가렵다고 하고 몸이 가렵다고 하는데 수액 영향이 있는걸까요? 아니면 처방 받은 약이 맞지 않아서 가렵다고 하는 걸까요?ㅠㅠ열은 저번주 일요일 부터 고열과 미열이 지금까지도 계속 지속 되고 있습니다..
어제 성탄절이라 소아과가 아닌 진료하는 가까운 의원 가서 아이가 해열수액과 기침 멈추게하는 수액 2개를 맞고 왔습니다. 맞고 와서 아이가 계속 등이 가렵다고 하고 몸이 가렵다고 하는데 수액 영향이 있는걸까요? 아니면 처방 받은 약이 맞지 않아서 가렵다고 하는 걸까요?ㅠㅠ열은 저번주 일요일 부터 고열과 미열이 지금까지도 계속 지속 되고 있습니다..
아이가 수액을 맞은 후 가려움증을 호소하고 있다면, 수액이나 처방받은 약물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은 음식, 식품 첨가제, 약물 또는 벌레 물림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부종에 의해 발생하는 두드러기일 수도 있습니다. 가려움증이 심하거나 발진, 호흡 곤란 등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아이의 고열과 미열이 지속되고 있다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다면 처방의를 재방문하여 약물 부작용을 이야기하고 필요하다면 약물을 변경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약복용을 중단한 후 증상이 사라지는지 확인해보시고, 증상이 사라진 후 다시 약을 복용했을 때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약으로 인한 증상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8개월 여아입니다. 갑자기 엄마한테 안아달라며 보채더니, 뜻대로 안되자 10분정도 심하게 울었습니다. 그런데 한쪽 뺨 전체에 열꽃같은 발진이 올라왔습니다. 정상체온이었고 급한 마음에 비판텐 연고를 발라줬고 30분정도 경과하자 발진이 거짓말처럼 사라졌습니다. 왜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데 병원에 가야하나요?
94일된 남자 아기 입니다 3시쯤 낮잠을 자는도중 갑자기 자지러지게 울고 밥도 거부하고 38.2도까지 열이 올랐구요 금방 괜찮아지고 밥도 잘먹다 6시반 7시쯤 38도 38.1도 정도 열이납니다 큰병원을 가야 할까요 지켜보는게 나을까요.. 기침 콧물 설사는 딱히 없습니다 분유를 자주 개어내긴 하나 이렇다할정도로 큰증상은 없습니다
20개월 남아 입니다. 저녁 수면중 갑작스러운 자지러지는 울음과 몸에 힘이잔뜩 들어간 상태로 몸을 뒤로 활처럼 젖힙니다. 손은 머리와 귀 얼굴로 반복적으로 비빕니다. 17개월쯤 낙상사고가 있었는데, 연관되어 뇌에 문제가 생긴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열은 36.3 ~ 36.6 도를 유지중이며 귀속은 귀지가 많습니다. 이 외에 외관상 확인되는 것들은 없습니다... 병원은 예약하지 않으면 진료가 안되며 응급실도 담당의가 없어 진료가 어렵다 합니다.. 어떤 증상인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 말씀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