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낮잠과 밤잠을 자고 꼭 소리지르며 깨요, 해결 방법은?
17개월 아기 30분 자고 꼭 소리지르면서 깨요.. 아기 7개월 경부터 증상이 계속 되는데 낮잠과 밤잠 모두 깨고 그래서 낮잠은 30분 정도만 자고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낮잠 밤잠 통틀어서 11시간 정도 자는데, 아기 정서에 좋지 않으까 걱정됩니다 제가 해줄 수 있는게 없을까요?
17개월 아기 30분 자고 꼭 소리지르면서 깨요.. 아기 7개월 경부터 증상이 계속 되는데 낮잠과 밤잠 모두 깨고 그래서 낮잠은 30분 정도만 자고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낮잠 밤잠 통틀어서 11시간 정도 자는데, 아기 정서에 좋지 않으까 걱정됩니다 제가 해줄 수 있는게 없을까요?
17개월 아기가 낮잠과 밤잠을 자고 나서 소리를 지르며 깨는 것은 부모님께 걱정을 주기 충분합니다. 아기가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1. 수면 환경 점검: 아기의 수면 환경이 편안하고 조용한지 확인하세요. 방의 온도, 조명, 소음 등이 아기의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 식사량, 식사 시간을 확인하여 아기가 배고프지는 않은지, 잠자리 환경이 덥거나 습하거나, 건조하여 불편하지는 않은지, 기저귀가 젖었는지, 입안에 상처가 있는지 등 원인을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2. 수면 스케줄: 규칙적인 수면 스케줄을 만들어 주세요. 매일 비슷한 시간에 낮잠과 밤잠을 재우도록 하여 아기의 생체 리듬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생후 6~12개월 아기의 대부분은 밤에 약 11시간씩 자며 하루에 두 번씩 1시간~1시간 반 시간 정도 낮잠을 자는데 낮잠을 길게 자면 아기가 밤에 잠을 자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해요. 3. 수면 전 루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일정한 루틴을 만들어 주세요. 목욕, 동화책 읽기, 조용한 노래 듣기 등을 통해 아기가 잠자리에 들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4. 수면 연관성 감소: 아기가 특정 조건이나 습관에 의존하여 잠들게 되면, 그 조건 없이는 잠에서 깨기 쉬워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기가 무릎을 토닥거리거나 노래를 들으며 잠들었다면, 이러한 습관을 천천히 줄여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5. 야간 수면 방해 요인 제거: 아기가 밤에 자주 깨는 경우, 기저귀가 젖었는지, 배가 고프지 않은지 등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야간 수유를 조금씩 줄여나가세요. 6. 전문가 상담: 위의 방법들로도 개선이 보이지 않는다면, 소아과 의사나 수면 전문가와 상담을 고려해 보세요. 아기가 수면 중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다른 건강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위의 방법들을 차근차근 시도해 보시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건강한 수면 습관 형성이 아기의 정서적 안정과 발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아기가 낮잠을 자고 일어나때 항상 울어요 … 밤잠을 자고일어나서는 울진 않는데 낮잠만자고 일어나면 우는데 뭐때문일까여 ?ㅠ
54일 아기 입니다 낮잠을 길게는 3시간 30분씩 자는데 밤잠에 들기 전 졸린데 잠들기 힘들어해요 낮잠이 길어서 그런가요? 낮잠 중간에 깨워야할까요?
7개월아기인데요 원래는 8~9시사이에 밤잠을 재우는데 오늘은 아기가 낮잠패턴이 조금 무너져서 아직 못자고잇는데요 늦어도 10시전까지는 자는게 좋다는데 맞는건가요? 깨시가 2시간은 그래도 되야 아기가 잠들기도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