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식기세제 섭취 후 배아픔과 구역질이 생긴 이유는?
돌 아기가 식기세척기 세제를 먹고나서. 2일정도 괜찮았는데 밤이되니 배를아파하고 구역질을 합니다 소아과에서는 소량이라 괜찮을거라고 하셧는데 왜 이럴까요 큰병원을 가봐야 할까요 변은 상아색 변을 2번정도 적게 봤어요
돌 아기가 식기세척기 세제를 먹고나서. 2일정도 괜찮았는데 밤이되니 배를아파하고 구역질을 합니다 소아과에서는 소량이라 괜찮을거라고 하셧는데 왜 이럴까요 큰병원을 가봐야 할까요 변은 상아색 변을 2번정도 적게 봤어요
질문자님의 상황이 많이 걱정되실 것 같습니다. 돌 아기가 식기세척기 세제를 섭취한 후 2일이 지나서 배아픔과 구역질을 보이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입니다.
식기세척기 세제는 강한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위장관에 자극이나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증상이 없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위장관 점막에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지연성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기가 배아픔과 구역질을 보이고 변의 색이 변했다면, 이는 위장관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소아과에서 소량이라 괜찮을 것이라고 했더라도, 현재 증상이 나타났다면 즉시 응급실이나 큰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화학물질 섭취 후 지연성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더 면밀한 검사와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전문의의 진찰을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그때 당시 권장량의 수십배에 달하는 주방 세제를 뜨거운 물에 풀어서 사용했고, 이때 옆 사람은 세제가 묻은 그릇을 헹구는 과정이었습니다. 식판과 밥그릇은 플라스틱이었고, 나머지는 스테인리스였습니다. 주방세제를 수십 배 많이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옆에서의 헹굼 과정이 수압이 조금 있는 물에 그릇을 2~3초 정도 헹구는 과정으로 매우 불츙분했습니다. 해당 업무를 하루 세 끼 중 한 끼, 월 평균 8회 6개월 정도 약 48회 진행하였습니다. 이 경우에도 그릇에 남는 세제는 극히 미량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그릇을 엎어서 고이는 물이 없도록 12시간 정도 건조 후에 그 그룻과 식기들을 사용했습니다. 이때 물기는 없지만 그릇에 얇게 코팅되는 방식으로 세제가 남을 경우 이를 음식물과 같이 섭취하셨더라도 문제 없었을까요? 혹시 모를, 고여있었을지도 모르는 세제 물을 조금 섭취하셨더라도 문제 없었을까요…? 계속 과장하여 생각하게 되고 하루하루가 괴롭습니다.
독감 바이러스 식기류 주방세제로 제거되나요? 아니면 식기류를 삶아야하나요? 균이 다 제거가 안되면1회용 사용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잔류세제 섭취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요양시설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하며 설거지 업무를 몇 달 동안 맡은 적이 있습니다. 어르신들께서 사용하시는 식기를 설거지하는 것이었는데, 뜨거운 물에 주방세제를 풀어놓고 헹구는 방식이었습니다. 근데 그 당시 아무것도 몰라 거품을 많이 내야 깨끗해진다는 생각에 과도하게 많은 세제를 사용하였습니다. 식기가 담겨진 뜨거운 물에 종이컵 두 컵 정도나 부었던 것 같습니다. 헹굼을 제대로 했으면 걱정이 없지만, 세제 양이 과도하기도 했고 업무를 빨리 끝내고 싶었던 마음에 행굼을 담당하신 분의 헹굼 과정도 많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하루 한 번, 월 5~7회를 6개월 정도 한 것 같습니다. 돌아가신 어르신들에게 이 방식이 큰 무리가 되었을까봐 많은 걱정이 됩니다. 소화 기괸에 악영향을 줬다거나, 어르신들의 생리 현상에 악영향을 줬다거나.. 실제로 이런 잔류세제가 어르신들의 건강에 심히 무리가 갔을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