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일 아기가 차에서 우유를 마시다가 둘째가 팔꿈치를 머리에 세게 쳤는데, 지린변이 나와요. 병원을 가봐야 할까요?
73일아기 어제 차에서 우유먹고잇엇고 둘째가모르고 팔꿈치를 머리앞부분을 조금세게?맞았어요 우유랑 트림은잘하는데 약간 지린변을봐요ㅠ 병원을가봐야할까요
73일아기 어제 차에서 우유먹고잇엇고 둘째가모르고 팔꿈치를 머리앞부분을 조금세게?맞았어요 우유랑 트림은잘하는데 약간 지린변을봐요ㅠ 병원을가봐야할까요
아기가 머리를 다치는 사고를 겪었다면, 부모님의 걱정이 클 것으로 이해됩니다. 특히나 73일 된 아기의 경우 더욱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아기가 머리를 다친 후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구토가 지속되거나 심해지는 경우 2. 아기가 평소와 다르게 무기력하거나 반응이 없는 경우 3. 경련이나 발작이 있는 경우 4. 머리에 부종이나 멍이 심하게 생기는 경우 5. 지린변이 지속되거나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현재 아기가 지린변을 보고 있다면, 이는 머리 부상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기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받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기가 잘 먹고 잘 노는 등 평소와 다른 증상이 없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지린변 외에도 보채는 일이 많아지거나 고열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진료를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팔꿈치를 세게 부딪히고 난 후 손목을 밖으로 젖힐 경우 손목부터 팔꿈치 안쪽이 당기는듯한 통증이 나고 조금 부어있습니다 현재 4-5일정도 경과하였는데 병원에 가봐야할까요?
팔꿈치를 벽에 세게 찧고 난뒤에 팔을 들거나 할때 통증이있습니다. 엑스레이 찍어봐야할까요?
3년 전에 팔꿈치를 딱딱한 벽에 엄청 세게 부딪히고 다음날 팔을 못 올릴만큼 아프게 타박상을 입었었는데, 그때 병원치료를 못받았었습니다. 지금 움직이는 데는 이상이 없지만, 머리를 감거나 양치를 할 때 반복적으로 왔다갔다 팔꿈치를 움직이면 통증이 계속 있는 등 후유증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 혼자 할 수 있는 스트레칭이나 운동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가서 치료 받으면 나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