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 감염 여부 확인을 위해 언제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자신이 HIV에 감염되었는지 모르겠는데, 언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까? 몇 번 검사해야돼요?
자신이 HIV에 감염되었는지 모르겠는데, 언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까? 몇 번 검사해야돼요?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때는 노출이 의심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관리청의 HIV/AIDS 관리지침에 따르면, 의심 노출 후 4주가 지난 시점에 항원항체검사 또는 항체검사를 받는 것이 좋으며, 이때 음성 결과가 나오더라도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의심 노출 6주 후에 항원항체검사로 재검사하거나, 의심 노출 12주 후에 항체검사로 재검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한, 잠복기에도 민감도가 높은 PCR 검사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비뇨의학과나 산부인과 등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검사 일정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HIV에 감염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DNA 검사를 받을 수 있나요?
해외의료봉사 도중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바늘에 손을 깊이 찔렸습니다. 노출 시점으로부터 2주가 지났고 급성 HIV 증후군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미미한 근육통, 두통과 임파선 통증이 있습니다. 환자의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고 빈민 지역이라 에이즈 환자가 많이 분포했을 듯한데 6주 후 HIV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감염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딱 한 번 동성간의 관계를 가졌고, 서로 구강성교를 하였고 콘돔없이 항문 삽입 후 사정을 하였습니다 이후 몸살 기운이 발생하였는데 hiv나 다른 여타 성병 감염 확률이 높을까요? 상대방은 성병 검사를 받지 않아서 감염 여부가 확인이 안됩니다. 성병 감염 위험이 있다면 어떤 검사를 받아야하는지 알고 싶고 PEP 처방이 가능한 사례인지 알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