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주사바늘에 찔리고 Hiv 감염될 확률이 얼마인가요
해외의료봉사 도중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바늘에 손을 깊이 찔렸습니다. 노출 시점으로부터 2주가 지났고 급성 HIV 증후군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미미한 근육통, 두통과 임파선 통증이 있습니다. 환자의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고 빈민 지역이라 에이즈 환자가 많이 분포했을 듯한데 6주 후 HIV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감염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해외의료봉사 도중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바늘에 손을 깊이 찔렸습니다. 노출 시점으로부터 2주가 지났고 급성 HIV 증후군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미미한 근육통, 두통과 임파선 통증이 있습니다. 환자의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고 빈민 지역이라 에이즈 환자가 많이 분포했을 듯한데 6주 후 HIV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감염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많이 불안하시겠지만 해당 정황만으로는 HIV 감염 가능성에 대해서 말씀 드리기 어려워요. 따라서 이에 대해서 우려되실 경우 상급병원이나 보건소에서 HIV 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권장드려요. HIV 항체는 2주부터 약 12주까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체 형성 시기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감염내과 진료를 통해 검사 시기를 결정해 보실 것을 안내드려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hiv 감염에 관한 문의입니다. 오늘 쓰레기를 버리다가 물론 장갑을 낀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다 버리고 좀 손등이 따끔따끔거렸습니다. 그래서 너무나도 놀라, 손등을 살펴보니 약간 작은 상처같은게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주변에 피가 나오지도 않았고 또한 장갑 안에 소량의 피라도 묻지 않았습니다. 솔직히 찔렸는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한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만약에 감염자의 주사바늘에 찔렸다면, 그리고 그 찔린자국에서 소량의 피라도 나지 않았다면 혈관에 침투를 안한거니 감염에 관한 문제가 없는건지요? 솔직히 찔렸는지 아닌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주사기가 있었는지 아닌지도 잘모르겠구요.
누군가의 진물, 혈액이 묻었던 바늘에 찔려 가볍게 피가 났습니다. 그 누군가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질문할 때, B형 간염, C형 간염, 매독, HIV 외에 또 어떤 걸 물어봐야 할까요? (감염내과 카테고리가 없어서 응급의학과로 분류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오늘 지병으로 인하여 내과에서 채혈 후 혈액검사를 하였습니다 주사기는 새주사기입니다 그런데 주사바늘 캡을 열때, 그 병리사분이 중간 주사바늘 대를 손으로 만졌습니다. 물론 그 이전에 내 팔을 알콜솜으로 소독하면서 병리사님 손가락 도 알콜솜으로 문질렀으니 소독이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병리사님이 주사바늘에 찔리거나 뭔가를 를 묻히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캡을 열면서 주사바늘 중간을 손으로 만지셨는데 혹시 이게 감염이 될 가능성이 있는지요? 우선 주사바늘에는 타인의 혈액등은 묻은건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혹시 이런 병원내 감염등이 발생할 확률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주사바늘에 타인의 혈액은 묻지 않았습니다 주사바늘 중간의 대를 병리사님이 손가락으로 만졌는데 혹시나 이게 감염을 일으키지 않을런지 두렵습니다 확실히 주사바늘에는 혈흔은 묻어있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