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낙상 후 계속 자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침대 낙상사고 있은 뒤 애기가 잠만자고 구토1회있었고 밥을 못먹어요. 그래서 ct 찍었는데 병원에선 문제없다는데 애기가 계속 잠만자요. 회복때문에 자는건지 뭔지 걱정스러워요.
침대 낙상사고 있은 뒤 애기가 잠만자고 구토1회있었고 밥을 못먹어요. 그래서 ct 찍었는데 병원에선 문제없다는데 애기가 계속 잠만자요. 회복때문에 자는건지 뭔지 걱정스러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아이가 머리를 다친 뒤로 계속 잠만 자고 밥도 못 먹고, 한 차례 구토까지 있었다니 부모 입장에서 얼마나 마음이 타들어가셨을지 충분히 이해됩니다.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진 후 CT 검사를 받았고 병원에서는 이상이 없다고 했지만, 이후 아이가 계속 잠만 자고 식사도 하지 않으며 구토도 한 차례 있었다면 단순히 검사 결과만으로 안심하기는 어렵습니다.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CT에서 명확한 출혈이나 골절이 없었다 하더라도, 외상 후 지연성 증상은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소아는 성인과 다르게 두부 외상 이후 의식 저하나 식욕 부진, 무기력함 등으로 상태가 천천히 변할 수 있어요.
현재처럼 아이가 계속 자고 깨워도 반응이 둔하거나, 눈빛이 흐리거나, 밥을 거의 못 먹는다면 단순한 피로 회복의 한계를 넘어선 증상일 수 있어요.
병원에서 괜찮다고 했더라도, 보호자인 입장에서 평소와 다른 모습이 뚜렷하다면 다시 병원을 찾아가는 것이 맞아요.
아이의 상태는 수시로 변할 수 있고, 초기 CT에서는 놓칠 수도 있는 경미한 이상이 시간이 지나며 증상으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구토가 반복되거나, 깨웠을 때 반응이 없거나, 팔다리 움직임이 비정상적이거나, 울음이 약하고 축 처져 있다면 더 지체하지 말고 바로 재진료를 보셔야 해요.
소아 두부 외상 후 24~72시간은 상태 관찰이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지금은 아이의 의식 상태, 반응성, 체온, 구토 여부, 기저귀 소변량, 울음소리 등을 잘 지켜보시고, 이상이 의심된다면 한 번 더 신경과나 응급실에서 재평가를 받는 것이 아이를 위해 더 안전한 선택이에요.
아이는 설명이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의 직감과 관찰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잠깐 사이에 쿵! 아기 낙상 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AD
아기가 침대낙상사고가 있은 뒤 계속 자려고만 하고 구토도 해서 ct를 찍었어요. 검사 결과상은 괜찮다고 하는데도 계속 자려고만 해요. 괜찮은거 맞나요?
9개월아기 엎드려서 자는데 엉덩이를 들고자요 . 원인이있나요
15개월 아기인데 2주째 자다가 깨서 계속 울고 안아주면 잠드는데 눕히면 또 깨서 울고 새벽에 거의 잠을 못자요 왜그러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