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주방세제 소량 섭취, 태아에 영향 있나요?
22주차 임산부 입니다 설거지 하는 도중 주방세제가 튀어서 입에 들어갔습니다 아기한테 문제될까요?
22주차 임산부 입니다 설거지 하는 도중 주방세제가 튀어서 입에 들어갔습니다 아기한테 문제될까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산부인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설거지 중에 주방세제가 입에 튀어 들어가셨다니 놀라셨겠어요.
소량의 주방세제가 입에 들어간 정도라면 태아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방세제는 소량 삼켰을 때 일반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대부분 자연스럽게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다만, 입안을 물로 충분히 헹궈주시고,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서 혹시 남아있을 수 있는 세제 성분을 씻어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구토, 복통, 설사와 같은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산부인과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지만, 그런 증상이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현재 특별한 증상이 없으시다면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테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산부인과에 문의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임산부11주부터 주3회~4회씩 고등어 갈치 장어 조기 굴비등 식약처 권고사항보다 생선을 자주 많이 먹었어요~ 14주까지는 자주섭취했는데 수은섭취가 과도한게 아닐까 우려됩니다. 태아에게 영향이 갈까요? ㅜㅜ 이제부터라도 조심하면될까요?
설거지를 하다가 소량 남은 잔류 세제가 어르신들의 건강에 엄청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깨끗하게 세척해야 한다는 생각에 아무것도 모르고 주방세제를 과하게 사용한 것 같습니다. 뜨거운 물을 받아놓고 대략 권장량의 수십배에 달하는 세제를 넣었던 것 같습니다. 헹굼 과정도 그릇을 한 번씩만 모든 부분을 헹구는 정도였어서 충분했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하루 세 번의 식사 중 아침 한 끼에 사용하는 그릇과 식판, 그리고 식기들을 이런 방식으로 설거지하였는데요. 월 평균 6회 6개월 정도 이 업무를 런 방식으로 수행하였습니다. 사용한 세제가 좋은 세제인지, 검수를 잘 받은 세제인지도 알지 못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1. 이러한 빈도수와 방식이면 그 ’6개월의 기간 동안‘ 어르신들의 건강이 악화될 수 있는지 (소화기관 등) 2. 이 기간 때 이러한 방식이 ’후에, 나중에 어르신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어 사망에 이르실 수도 있는지‘ 단기 영향과 장기 영향이 궁금합니다.
그때 당시 권장량의 수십배에 달하는 주방 세제를 뜨거운 물에 풀어서 사용했고, 이때 옆 사람은 세제가 묻은 그릇을 헹구는 과정이었습니다. 식판과 밥그릇은 플라스틱이었고, 나머지는 스테인리스였습니다. 주방세제를 수십 배 많이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옆에서의 헹굼 과정이 수압이 조금 있는 물에 그릇을 2~3초 정도 헹구는 과정으로 매우 불츙분했습니다. 해당 업무를 하루 세 끼 중 한 끼, 월 평균 8회 6개월 정도 약 48회 진행하였습니다. 이 경우에도 그릇에 남는 세제는 극히 미량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그릇을 엎어서 고이는 물이 없도록 12시간 정도 건조 후에 그 그룻과 식기들을 사용했습니다. 이때 물기는 없지만 그릇에 얇게 코팅되는 방식으로 세제가 남을 경우 이를 음식물과 같이 섭취하셨더라도 문제 없었을까요? 혹시 모를, 고여있었을지도 모르는 세제 물을 조금 섭취하셨더라도 문제 없었을까요…? 계속 과장하여 생각하게 되고 하루하루가 괴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