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접질림 후 지속적인 통증과 불안정함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에서 뼈에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연부 조직(인대, 힘줄, 근육 등)의 손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발목을 접질렸을 때 흔히 발생하는 인대 손상(발목 염좌)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거나, 심한 경우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졌을 수 있습니다.
현재 증상으로 볼 때 다음과 같은 원인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인대 손상: 발목 염좌로 인해 인대가 약해지거나 늘어나면서 발목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발목을 돌릴 때 소리가 나거나 흔들리는 느낌은 인대의 불안정성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힘줄염 또는 힘줄 손상: 발목 안쪽 복사뼈 아래의 통증은 후경골근 힘줄(tibialis posterior tendon) 손상이나 염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힘줄은 발목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관절 내 문제: 발목 관절 내부에 염증이나 연골 손상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발등을 당기는 자세에서 통증이 심하다면 관절 내 구조물의 문제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신경 문제: 피부가 아닌 내부에서 따가운 느낌이 든다면 신경이 자극받거나 눌린 상태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재 상태에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추천드립니다:
-
정밀 검사: MRI 검사를 통해 연부 조직(인대, 힘줄, 연골 등)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는 뼈의 상태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부 조직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
재활 치료: 발목의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해 물리치료나 재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발목 근력을 강화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운동을 진행하세요.
-
보조기 사용: 현재 처방받은 보조기를 계속 착용하여 발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착용 시 근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운동과 병행해야 합니다.
-
정형외과 재방문: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를 다시 방문하여 추가 검사를 요청하고 치료 방향을 재조정해야 합니다.
발목 부상은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적인 불안정성과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와 상담하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