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환자가 야간근무를 해도 괜찮나요?
조현병 환자가 야간에 5시간 30분.취침후 격렬한 운동 1시간(복싱)과 독서 및 자격증 공부 4시간 하고 낮에 2시간 자고 야간근무 투입해도 될까여?심한 육체 노동은 아니고 경비원 이며 근무중 야간에 취침시간 3시간 있음다..
조현병 환자가 야간에 5시간 30분.취침후 격렬한 운동 1시간(복싱)과 독서 및 자격증 공부 4시간 하고 낮에 2시간 자고 야간근무 투입해도 될까여?심한 육체 노동은 아니고 경비원 이며 근무중 야간에 취침시간 3시간 있음다..
AD
조현병 환자의 경우,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휴식과 적절한 생활 패턴이 매우 중요합니다. 질문하신 생활 패턴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수면 시간: 야간에 5시간 30분, 낮에 2시간, 근무 중 3시간 취침을 합하면 총 10시간 30분의 수면 시간이 확보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수면 시간으로 보일 수 있지만, 조현병 환자는 규칙적인 수면 패턴이 중요합니다. 수면이 분산되어 있으면 질적인 면에서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의 부작용으로 수면의 질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격렬한 운동: 복싱과 같은 격렬한 운동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피로를 유발하고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조현병 환자는 운동 강도를 조절하고 자신의 상태를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 후 피로감이 심하거나 증상이 악화된다면 운동 강도를 낮추거나 다른 형태의 운동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야간 근무: 야간 근무는 생체 리듬을 깨뜨릴 수 있어 조현병 환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야간 근무 중 스트레스가 발생하거나 수면이 방해받는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신경과민이나 불안 증상이 동반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근무 환경이 환자에게 적합한지 검토가 필요합니다.
정신적 활동: 독서 및 자격증 공부는 정신적 자극을 줄 수 있지만, 과도한 집중은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휴식과 균형 잡힌 활동이 필요합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쌓일 경우 정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공부 시간과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위 생활 패턴은 조현병 환자에게 다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야간 근무와 격렬한 운동이 조현병 증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담당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생활 패턴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언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신체적 증상이나 피로감이 지속된다면 신경과 진료를 통해 신체적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하루걸러 야간에만 근무하는 야간전담 경비원 입니다.(근무시간 14시간)야간에 가수면 시간이 4시간 30분 있습니다.주간에 약 1시간 정도 가수면 취한 다음 근무 투입되면 많은 도움이 될런지요?조현병 20년차 이며 현재 나이 45세 입니다.솔직한 조언 부탁 드립니다..
25살때 첫 발병하여 6개월간 폐쇄병동에 입원후 퇴원한 다음 통원치료 받고 있습니다. 제가 32살때 부터 주야교대직 직장을 다녀서 만성이 되었지만 요즘 들어 부쩍 야간 근무 시간에 조현병 트라우마 (후폭풍)가 온몸을 휘감습니다. 규칙적으로 약을 안 먹고 야간 근무시간엔 졸면 안되니까 취침약을 안먹고 아침약 이나 점심약을 먹었습니다. 퇴근후엔 아침엔 취침약을 먹구요 그런데 요즘 들어 부쩍 야간근무 시간에 조현병 트라우마가 폭풍처럼 스치고 지나가는데 취침약을 먹고 야간근무 를 서도 될런지 모르겠습니다.그 약 먹으면 굉장히 졸립습니다.말도 어눌해지고 발걸음도 비틀거려 지고...물론 남 들이 보기엔 정상처럼 보일수도있습니다.취침약 먹고 근무서도 조현병 치료에 도움이 될까요(약을 근무가 있건 없건 규칙적으로 먹는단 말입니다.)물론 잠은 안자고 버팅기지요...악으로 깡으로!!!
결론부터 질문좀 드리자면요 제가 조현병 환자인데 직업이 주야교대직 입니다. 회사에서 야간근무때 잠을 2~3시간 밖에 못 자더라도 취침약을 먹곤 칼잠 이라도 자는게 나을까요?아니면 회사에서 야간근무때 약을 안먹고 오전에 퇴근후에 취침약 먹고 자고 일어나서 조금 깨어 있다가 취침전 또 취침약을 복용 하는게 나을까요?이렇게 된다면 아침에 퇴근하고 취침약 1번,밤에 취침전 1번 .하루에 총 2번을(아침,밤)취침약을 먹는꼴이 됩니다.4일에 한번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