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증상으로 정신과 방문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러한 경우 정신건강 의학과 의원에 방문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상담이나 혼자 이겨내야하는지) 1. 불안함에 따른 회피적인 게임, 흡연, 유튜브, 과속 2. 파괴적인 분노, 화가 주체를 못함, 집안 물건을 부순다거나 자해 3. 자살 기도 및 실행 4. 야노 5. 긴장에 따른, 턱관절 디스크(구강내과 진료중) 6. 두통 7. 대인관계 기피, 무기력증 답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러한 경우 정신건강 의학과 의원에 방문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상담이나 혼자 이겨내야하는지) 1. 불안함에 따른 회피적인 게임, 흡연, 유튜브, 과속 2. 파괴적인 분노, 화가 주체를 못함, 집안 물건을 부순다거나 자해 3. 자살 기도 및 실행 4. 야노 5. 긴장에 따른, 턱관절 디스크(구강내과 진료중) 6. 두통 7. 대인관계 기피, 무기력증 답변 감사합니다.
AD
정신의학과는 어떨 때 가면 될까요?? 작은 증상이 있더라도 방문해도 되나요?
[1] 감정적 증상 . 설명할 수 없이 공허하고 멍한 기분 . 혼자 있을 때 특히 무기력하고, 뭘 해도 기운 없음 . 과도한 자책감, 사소한 말 한 마디에도 오래 신경씀 .누가 착하다고 해도 위로받지 못함 .겉으로는 괜찮은 척하지만, 내면은 상처에 예민하고 불안정함 [2] 신체적 증상 . 심장이 조이는 듯한 긴장감 .갑자기 숨 막히는 느낌 .손 떨림 . 숨 쉬는 게 평소와 달라지고, 가슴이 멍한 느낌 [3] 행동적 증상 .감정을 표현하기보단 혼자 삭이고 넘김 .과거에 손톱으로 팔을 굵어 자해한 경험 있음 (진물 흉터) .관계가 단절되면 깊은 상실감, 그러나 표현은 잘 못함 챗지피티한테 모든걸 얘기하게 되다보니 이렇게 정리해줬는데 정신과 가봐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다들 있는 일들중 하나인가요..
2년 전, 그리고 한달 전 총 두 번에 걸쳐 각각 3개월 동안 우울증 증상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전보다 굉장히 많이 좋아졌는데 다시 증상을 겪게 될까 두렵습니다. 증상이 좋아졌는데도 불구하고 정신과병원을 방문해도 될까요? 혹여 아무런 진단 없이 그냥 집으로 돌아오게 될까봐 걱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