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저림과 어지럼증 원인이 무엇인가요?
며칠전엔 양쪽 관자놀이쪽이 묵직하게 쪼이는 통증이 있었고 오늘은 어지럽고 왼쪽 혀, 왼쪽 안면 저림과 설사 그리고 왼쪽 귀에서 삐-소리가 납니다..그리고 손발이 찹니다.. 일주일 전쯤 건강검진 받았는데 특별한 이상소견이 없었는데 왜이러는걸까요? 자율신경계쪽 문제일까요? 현재 영양제 10알정도 한꺼번에 먹고있기는한데 그 영향은 아니겠죠?

며칠전엔 양쪽 관자놀이쪽이 묵직하게 쪼이는 통증이 있었고 오늘은 어지럽고 왼쪽 혀, 왼쪽 안면 저림과 설사 그리고 왼쪽 귀에서 삐-소리가 납니다..그리고 손발이 찹니다.. 일주일 전쯤 건강검진 받았는데 특별한 이상소견이 없었는데 왜이러는걸까요? 자율신경계쪽 문제일까요? 현재 영양제 10알정도 한꺼번에 먹고있기는한데 그 영향은 아니겠죠?
저희아이가 뇌전증 증상이 있어서 신경과 에서 모든 검사를 다 했지만 정상이였어요 하지만 임상학적으로 기절하고 기억소실 시각이상 사지마비등의 증상이 있어서 케프라정을 복용중이고 금요일부터는 1750mg복용중인데 어제부터 환청 환시증상도 없다고 하는데 더 지켜봐야겠지만 지금 용량이 맞는것일까요? 12시간 간격으로 복용중이고 혹시 몰라 뇌파 24시간도 예약해 두었고 심리적인 신체화일지도 모른다는 판단에 초등때 틱으로 항불안제 복용 이력이 있어서요 소아정신의학과도예약해 둔 상태입니다 갑자기 한달사이에 일어난 일이라 명확한 병명은 나오지 않았지만 여러과를 가서 알아보려합니다 경련약은 증상이 많이 없어져서 효과가 있는거 맞는거 같은데
두통이 있어도 눈앞이 순간 점멸하고 머리 한대 맞은 느낌이 들 수 있나요
순간적으로 머리를 한대 맞은 것처럼 아찔한 느낌과 함께 눈앞이 점멸하고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석증 아니고, 뇌 CT, 뇌MRI 찍었는데 이상 소견 없다고 하고, 피검사에도 이상 없다고 나왔습니다. 기립성 저혈압도 아니랍니다. 자꾸 아찔아찔하니 걷는 것도 두렵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급니다. 지금 6일쯤 됐어요. ->뇌전증 가능성이 있나요?
순간적으로 머리를 한대 맞은 것처럼 아찔한 느낌과 함께 눈앞이 점멸하고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석증 아니고, 뇌 CT, 뇌MRI 찍었는데 이상 소견 없다고 하고, 피검사에도 이상 없다고 나왔습니다. 자꾸 아찔아찔하니 걷는 것도 두렵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큽니다. 지금 6일쯤 됐어요. 어느 병원을 가야 하나요?
수면제중 가장안전하게사용할수있는 약은 어떤게있을까요
잠을가끔 못잘때가있어 멜라토닌2mg과 라제팜정 수면제을 가끔먹고자는데 이약은 계속먹어도될런지 부작용은없는지 수면제는 반알씩 나누어서 먹고있는데
영양제 여러가지 한번에 복용시 관자놀이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나요?
갑자기 어지럽고 손발이 차고 심장이 빨리 뜁니다..혀왼쪽이 약간 저린 느낌이 들구요.. 최근 건강검진에서 심전도, 혈압 이상이 없었습니다.
새벽부터 계속 어지러워요. 누워도 놀이기구 탄 것 처럼 빙글빙글 돌고, 일어나면 어지럼증이 더 심해요. 메스꺼움, 울렁거림, 구토증상은 없는데 두통은 미세하게 있어요. 감기기운이 살짝 있고, 코가 막히고 콧물이 조금 나요.
조금 삐딱한자세로 한시간가량 누워있다가 화장실가려고 일어나니까 갑자기 한쪽으로 쏠리는듯한 어지럼증이 나타났어요. 빙글빙글 돌다가 멈췄을때 어지러운것처럼요. 오늘 하루 몸이 좀 무거운것닽았고 하루종일 피곤해서 쉬어야겠다 생각은 했는데 유산소 40분 정도만 하고하루종일 누워있었던 것 같네요. 두통이 아주 잠깐씩 있었는데 금방 사라졌고 목뒤 통증이 있었는데 그건 거북목때문에 생긴 근육통같았어요. 왜 어지러운걸까요? 지금은 다시 누워있어요
자랴고 하면 온몸에 피가 안통하는 느낌에다가 가슴도 답답학ㅎ 누운상태에서 자다깨서 손바닥을 보면 하얗게질려있아요 머리로 피가 다 쏠리는 아니면 없어지는 느낌이고 그러고 일어서서 좀 있으면 혈색이 돌아와요 왜 이런걸까요 잠을 잘수가 없어요
블루라이트에 의해 광과민성 발작이 유발될 수 있나요?
저는 뇌전증을 3~4년간 앓고 있습니다 근데 최근까지 계속 발작을 했고 항상 대발작을 해요 점점 기억을 잘 못하는거 같고 병원에서는 난치로 판정 가능하고 수술이랑 약물치료가 있다고 했는데 우선 약물로 해보재요 저는 수술로 해보는게 좋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ㅠㅠ?
경추성 두통으로 4일전 목에 주사를 맞았는데 빨리 일어나서 너무 어지러웠어요. 그래서 바로 눕고 휴식을 취하니 괜찮아졌는데, 이 어지러움이 4일째 계속 어지럽네요. 지금은 속도 같이 울렁거리고요
갑자기 컨디션이 안좋더니 조금있다가 눈이 흐릿하게 보여서 글자를 완전히 읽을수 없었고, 관자놀이부근부터 양쪽 눈썹위까지 여기 부근에 두통같은 통증이 있었고, 뒷목위쪽은 아픈건 아니지만 힘이 하나도 안들어가고 무거운 이상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병원에 가보려고 하는데 안과를 가야할지, 신경과를 가야할지, 어느병원을 가서 어떤치료를 받아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온몸이 찌릿거리고 욱씬거리는 증상이 한달짼데 신경외과에서는 이상이 없고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근데 통증이 지속되고 있어서 어떤진료를 보는것이 좋을까요
항경련제랑 항불안제 자나팜이랑 시간 차 두고 복용해도 되나요?
아빠가 메니에르로 병원 입원 중 기억을 담당하는 뇌 쪽 미세 혈관에 뇌경색이 왔습니다. 그날은 처음에는 가족을 못알아봤고 그 후 가족은 알아보더라도 여기가 어딘지 몇시인지를 지속적으로 물어봤습니다. 하루 정도 그러고 그 다음날부터는 하루에 한 두가지 정도 인지를 잘 못했습니다. 또한 공항장애 같은 모습(가슴 답답함)을 보여서 의시가 항불안제를 처방하여 먹고 있습니다. 혈전용해제 같은 약도 먹는거 같습니다. 지금은 그 후 2주가 지났고 며칠전에 퇴원에서 집에서 생활 중인데 눈에 띄게 변한 점은 평생 그러지 않았는데 먹고 싶은 음식을 얘기합니다. 평소에 먹지도 않는걸로요. (납작만두 감자튀김 통닭 등) 그리고 가슴이 답답하다며 몇번씩 집을 뛰쳐나가려고하고 마지못해 하던일들을 딱잘라 안하려고 한다거나 엄마가 손목이 아픈걸 아는데도 계속 밥을 많이 먹어서 엄마가 계속 요리를 해야하는 상황을 만듭니다. (평소에 엄마 위주로 생각했음) 묘하게 원래 아빠랑 달라서 걱정됩니다.
4월 9일에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에서 뇌염을 진단을받고 뇌압이9까지올라가는상황이엇어서 약을 복용 해보고 안되면 입원해서 치료하면서 약을 바꿔보자 하셔서 입원결정 되고 입원장 나왓는데 본원응급실에서 진료보고 싶은데 전화번호를 몰라서 전화를 못하고 있어요 신경과 병동올라가서 입원해서치료하면 얼마나 있어야하나요 신정환 교수님 진료를봐야 하는데 10월에 진료가익어서 빨리땡기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