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사람과의 접촉으로 감염병에 걸릴 수 있을까요?
노래방에서 모르는 남성분과 어찌 합석하게 되어 같이 술을 지인들과 마셨는데 그분이 입댓던 술을 마시기도 하고 본인이 먹던 식기를 제가 모르고 입에 댓었는데 이런경우 에이즈나 다른 감염병이 걸릴수가 있나요...ㅠㅠ 너무 무서워요 ㅜ...

노래방에서 모르는 남성분과 어찌 합석하게 되어 같이 술을 지인들과 마셨는데 그분이 입댓던 술을 마시기도 하고 본인이 먹던 식기를 제가 모르고 입에 댓었는데 이런경우 에이즈나 다른 감염병이 걸릴수가 있나요...ㅠㅠ 너무 무서워요 ㅜ...
낮부터 갑자기 물똥을 엄청 싸요 ㅠ 왜 이러죠
22살입니다 부정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두달쯤 전 자려고 누웠는데 심장이 덜컹하는 느낌이 든 이후 한달 정도 지속됐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좀 잠잠해지더니 오늘 또 덜컹 했습니다 그냥 서있거나 걷고 달릴 때는 안 그러는데 주로 허리를 앞으로 구부릴 때, 밥 먹고 누웠을 때, 들숨을 아주 크게 들이마셨을 때 발생합니다 숨이 가쁘거나 심장이 아픈 것 같지는 않아요 대학생이라 학기 중엔 병원 갈 시간이 없고, 방학 때도 그러면 병원에 갈 생각인데 사실 덜컹하는 느낌 때문에 자꾸 불안해집니다 기외수축은 심각한게 아니라는 말을 들어서 좀 안심을 했었는데 괜찮아졌다가 다시 그러니 심란합니다 지금 시험기간이라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기는 합니다 혹시 급하게 병원에 가야할 정도로 많이 심각한 질병인가요?
145/100정도의 고혈압이었습니다 고혈압 약 먹고 금연하고 영양제들 찾아먹고 있습니다 145/100이었을때는 가종용 혈압기가 피가 안통할 정도로 쎄게 꽉 쥐던게 요즘엔 쥐는둥 마는둥 하면서 측정이 종료됩니다 혈압은 125/80정도로 나와요 혈압이 떨어진거면 다행일텐데 측정할 때 느슨하게 조여지는게 혈압기 고장은 아닌지 의심이 되어서요 원래 혈압 낮은 사람들은 혈압측정때 느슨하게 조여지나요? 병원같은데서 측정하려면 시내에 나가야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위내시경에서 위 염증 조직검사 했다던데 왜 한거일까요?? 혹시 암일까요?
점상출혈 질문 아까 혈압계를 쓰고 피부에 생긴 붉은점이 뭔지 여쭤봤었습니다. 사진상으론 파악하기 어렵다고 해주셨어요. 좀 더 찾아보던 중에 점상출혈이란게 있는 걸 알았습니다. 외부압력이나, 알레르기, 혈관 혈소판 문제 등등 으로 생긴다고 하는데 제가 실험을 해보니까 혈압계로 오른팔을 한 번 더 재니 저게 더 생겼어요. 제가 특별히 혈관이 약해서 그런걸까요 아니면 양팔 각각 혈압계 4회 이상씩해서 생긴걸까요 평소에 혈관이 약해서 주사바늘을 여러번 꽂은 적은 없고 작은 충격, 이유없이 멍이 생기거나 혈소판 수치에는 문제가 없는 걸로 알고있어요. 감사합니다.
배꼽 기준 왼쪽 대각선 아래쪽이 누르면 뻑뻑하고 아픈데 왜 그런가요? 가만히 있으면 특별한 통증은 없습니다. 구토, 설사, 가스 차는 것 등도 없고 배란기나 생리기간도 아니예요.
91세 할머니가 간경화 때문에 리박트과립을 드시고 계시는데 먹으실 때마다 토를 하시는데 대체약이 따로 있을까요..?
전체적으로 배가 찌릿찌릿하고 아프고 허리를 펼때 더 아파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무슨 병을 의심할 수 있을까요?
위신과다에는 어떤 음식이 좋나요? 제가 요즘 새볔에 속이 끓는 느낌이 들어서요 아무래도 위산이 많이 나와서 그런 것 같아요 바나나 두부 양배추가 몸에 좋다는데 저희 집에 없어서.. 혹시 사과랑 꿀도 몸에 좋나요?
치질이 심하지 않은데 입욕제 써도 될까요? 좌욕 목적도 있습니다!
혀가 갑자기 파란색으로 물들었어요 변색시킬만한 사탕같은건 먹지 않았어요 왜이러죠?
젖산탈수소효소가 정상수치보다 높게 344정도가 나왔는데 충수 수술 후 2주 뒤에 받은 검사에서 나왔어요ㅠㅠ 몸에 이상이 있는걸까요??
요즘 밥만 먹고나면 소화가 안되고 가슴 답답 통증이 있는데 특히 오른쪽 가슴 위에 눌러보면 아파요ㅠㅠ 역류성 식도염이 심해진걸까요..
소화가 안돼서 소화제 먹었는데 똥 신호가 오면 좋은 건가요?...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있는데 일반 소화제 먹어도 효과가 있을까요? 가슴답답 통증이 조금 신경쓰이네요 ㅠㅠ..
마른기침/헛기침이 거의 6개월간 지속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후유증인가 싶어서 내비뒀는데 계속 나아지질 않네요 문제가 있는걸까요?
1. 건강 염려증은 불안증 중에서 어디에 속하게 되는 거죠? 2. 건강 염려증은 삼진디아제팜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걸까요? 3. 심장 내과에서 처방받은 인데놀정을 먹어도 가슴 두근거림이 사라지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독감주사 맞은 자리가 왜 저릴까요?
긴장을 심하게 하는 편이라서 1년전에 인데놀 처방 받았을 때 효과가 좋았는데 곧 면접이 잡혀있어서 인데놀 처방 받으려고 하는데 자주 먹는다고 처방 어려울까요?.. ㅜㅠ 앞으로 긴장하는 일 있을때마다 처방 받으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