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작업 중 용접입자가 옷에 달라붙었을까요?
용접종사자가 집앞에 용접하고 있는데 제가 자전거 타고 지나가다 봤는데 8m간격이었던거같은데 용접입자가 제옷에 달라붙진않았을런지 궁금합니다 겉옷은 세탁은 하긴했는데 내복은 안하고 침상에 누워서요

용접종사자가 집앞에 용접하고 있는데 제가 자전거 타고 지나가다 봤는데 8m간격이었던거같은데 용접입자가 제옷에 달라붙진않았을런지 궁금합니다 겉옷은 세탁은 하긴했는데 내복은 안하고 침상에 누워서요
32살 신장이 나이에 비해 좀 안조아 보인다 그러셨어요. Crea tinine eGFR 81.5 나왔다고 그러셨어요. 항생제가 신장에 안좋타고 그러는데 헬리코박터균 제균 2차 항생제 3개 들어간거예요. 아침 저녁 하루 두번씩 2주치를 타주셨는데 많이 나빠지려나요?
압정이 신발굽에 박혔습니다 그리고 확인해보니, 발바닥에 피자국이나 발바닥에 확연한 찔림의 흔적은없었고 또한.압정에 피가 묻지도 않았습니다 그럼 1차적으로 혈액에 의한 감염에 대한 걱정은 할 필요가 없는지요? 그리고 해당사건이 일어난지 2일이 지났는데 해당 부위에 열감 및 붓기등이 없다면 감염에 특히 혈액에 의한 매개가.된 위험은 없는걸로 간주해도 될런지요?
저 이번에 소화가 안되고 체중이 줄어서 내과에서 검진 받았는데 아래처럼 문자라 왔는데 병원 다시 안가도 되는건가요? 암 검사 받아보려 하는데.암일 가능성 있나요?
대장내시경물약에대해 궁금한데 요즘 원프렙이라고 하는게 쿨프렙보다 먹기 편해졌나요? 물양도 적어지고요
비수면대장내시경하려는데 위내시경처럼 구역질이 나진 않는지 궁금합니다
오래 누워있거나 엎드려 누워 있을 경우 혈압이 상승할수 있나요?
체내에 투여된 CT 조영제 성분은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야 빠져나오나요? CT 조영제 성분을 빨리 빼기 위해 물을 많이 마셔도 괜찮은가요?
일주일 전부터 하루 한두번씩 살짝 어지러움이 있었는데 당뇨전단계라 그런가 싶었어요 (당화혈6.0) 현재 식후 89인데, 지금 갑자기 일하는데 내내 괜찮다가 미세하게 어질하더니 약간 체한듯한 울렁거림이 좀 심해지다 갑자기 손이 떨리고 쥐나고 땀이 나다가 1-2분 이내에 이건 나아졌어요. 순간 쓰러지면 어떻게 하나 걱정했는데 걷는 중이였는데 걷는데 무리는 없었지만 저 증상이 있었습니다. 현재 약간 울렁임과 미세한 어지러움은 남아있어요. 혈압은 120대 나옵니다. 왜이럴까요? 임신아닐 거 같지만 관계는 있었기에 가능성 아예 무시할 순 없고, 심혈관질환이 아닐까 걱정도 되고 평소 불안이 있는 사람이라 정신과적 문젠가 생각도 듭니다
갑상선검사인 free t4검사를 했는데 free t4 는 1.72가 나왔고 tsh는 0.56이 나왔습니다 현재 숨찬증상 빈맥 기립성 저혈압 근육통 흉통 목에 이물감 증상등이 있는데 갑상선 기능항진증 일까요?
집에서 거의 앉아서 핸드폰만 하는데 침대에서 큰 배개에 기대서 가만히 앉아있기만해요 약간씩 반만 누울때도 있구요 그럼 속이 울렁거리고 안좋아지나요? 자극적인 음식을 먹지도 않았는데 속이 울렁거려요...왜그러는걸까요
15분전에 칫솔질하다가 잇몸에서 피가 많이 났는데 아직도 안멈추고 고여있어요 혈소판과 혈구이상이 의심되 피검사를 받긴했는데 피가 안멈추는게 제 피가 비정상이여서 그런건가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뭔가에 찔림사고에서, #0. 주사바늘이 아닌, 침이나 바늘 혹은 압정이고, #1. 찔렸다는 통증이 없고, #2. 찔린 자국 부위에 대해서 부정확하고, #3. 찔린 자국 부위에서 피자국이 없고, 또한 #4. 예상되는 부위를 압박해도 소량의 출혈도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는 찔렸더라도 혈관까지 들어간 것이 아니여서, 그 찔림부위에 여타 질환의 감염자의 혈액이 묻어 있더라도, 혈관에 침습을 하지 않아서, 혈액에 의한 감염 질환은 걱정 할 필요가 없는지요? 실은 지금 그게 제일 무섭습니다. 즉 피가 나지 않았다는 건 혈액에 의한 감염문제는 배제해도 되는건지요? 그리고 붓기나, 통증 및 열감등이 없다면 혈액에 의한 감염은 배제를 해도 상관없는지요?
복부 불쾌감
엑스레이 찍었는데 기관지 폐렴이 나왔어요 증상이 뭔가요? 일단 기침은 없어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뭔가에 찔림사고에서, #0. 주사바늘이 아닌, 침이나 바늘 혹은 압정이고, #1. 찔렸다는 통증이 없고, #2. 찔린 자국 부위에 대해서 부정확하고, #3. 찔린 자국 부위에서 피자국이 없고, 또한 #4. 예상되는 부위를 압박해도 소량의 출혈도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는 찔렸더라도 혈관까지 들어간 것이 아니여서, 그 찔림부위에 여타 질환의 감염자의 혈액이 묻어 있더라도, 혈관에 침습을 하지 않아서, 혈액에 의한 감염 질환은 걱정 할 필요가 없는지요? 실은 지금 그게 제일 무섭습니다. 즉 피가 나지 않았다는 건 혈액에 의한 감염문제는 배제해도 되는건지요?
이것도 연하곤란증상인가요? 목 이물감이 있는데 보통 연하곤란증상이면 밥도 못삼킨다고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물은 잘 넘어가고 있는데 문제는 밥인데 씹은후 삼키면 걸려서 안내려가는 느낌이 있는데 혹시 맞나요?
혈압 146/85 맥박 103 정상인가요?
코로나 재감염 증상 잠이안오는증상 발현될수있나요 ?? 어제저녁 두통 열 37.7 오늘아침 6.5 정상으로나왓습니다 아침에 또두통으로 약을먹어습니다 2022년3월 확진판정받고 재감염 안되고있는데요 걱정이되네요 ㅠ 재감염 기간 사람마다른가요 2년 길면 3년인가요 ?
치질수술 후 생긴 두통 때문에 수액을 맞으려 하는데 수술받은 병원이 너무 멀리 있네요. 동네 내과에 가서 증상 설명 후에 수액처방 받는 게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