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생긴 무릎 증상, 간지럽지 않은데 무엇일까요?
무릎에 갑자기 이런게 생겼어요 간지럽진 않구요
무릎에 갑자기 이런게 생겼어요 간지럽진 않구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이나 피부 사진만 보고서는 두드러기 등 알러지 반응인지 피부염에 의한 증상인지 등을 정확히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현재 가려운 증상이 없더라도 병변이 넓어지고 있다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피부과 진료를 받아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작년 코로나이후 가슴쪽이 콕콕 쑤시고 겨드랑이부터 왼팔도 당기는 느낌이 있어서 인근 병원에 방문후 진료를 받았는데 디다이머 수치가 1.06 나와서 아스피린 혈전약을 8개월 복용했습니다. 그런데 디다이머 수치가 0.89 정도 되더라고요. 수치가 0.5로 떨어져야한다고 하시더라고요. 혹시나해서 인근 다른병원 방문해서 진료받았는데 흉부 CT, 피검사 했습니다. 흉부CT상 이상없고, 디다이머도 1.0 미만이면 괜찮다고 하시고 혈전약 그만먹으라고 하시더라고요. 여기서 제 고민이 두분의 선생님 의견이 다르신데 디다이머 수치가 0.5 내려갈때까지 먹어야하는지 아니면 안먹어도 되는지 고민입니다.
심장 문제로 응급실로 간다면 기본적으로 D-dimer (디다이머) 수치를 보나요?
안녕하세요, 디다이머 수치와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제가 몇 주 전부터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다소 힘들어 내과를 방문했습니다. 흉부엑스레이, 심전도, 심장 초음파 검사를 진행했고, 결과는 모두 정상이라 역류성식도염 의심으로 약 처방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피 검사 결과 디다이머 수치가 참고치 0.5에 매우 근접한 0.47이 나왔고, 의사 선생님께서는 아직은 안심해도 되지만 증상이 계속될시 색전증 관련 추가 검사를 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제가 경구피임약인 야즈를 10개월째 복용(흡연은 아예 안 합니다)중인데, 혈전생성 위험이 있는 야즈를 계속 복용해도 되는지와 어느 정도의 기간 후에 다시 디다이머 검사를 해봐야할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저의 현재 증상과 폐색전증의 증상이 일부 흡사한데 제 디다이머 수치인 0.47수준에서도 폐색전증이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환자들을 위해 고생하시는 의사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