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름 매독 검사 후 1달이 지나도 되나요?
곤지름 매독 검사시기 관계후 1달지나고서 해도 되나요?
곤지름 매독 검사시기 관계후 1달지나고서 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비뇨의학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성병 검사는 성관계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매독의 경우, 성관계 후 1개월(4주), 3개월(12주) 후에 검사를 하고, 감염 유무가 확인되지 않는 3개월은 성관계를 자제해야 해요. 따라서 관계 후 1달이 지났다면 매독 검사를 받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감염 초기에는 음성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거나 위험한 성관계가 있었다면, 초기 검사 후 3개월 후에 다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곤지름은 일반적으로 2~3달의 잠복기를 거쳐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일반적인 기간 외에 잠복기가 1~8개월까지도 길어질 수 있다는 의미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곤지름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바이러스는 특정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곤지름의 경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성병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병 검사는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으며, 특히 새로운 성 파트너가 있거나 다수의 파트너와 성관계를 가진 경우에는 더욱 중요합니다. 검사 시기나 방법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성병 전문 클리닉이나 의료 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의심관계후 5달하고 3주가지났는데 hpv질안쪽으로 하는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어요ㆍ음성이고 곤지름이나 사마귀가 난것이 없으면 곤지름 안걸린걸까요?곤지름 공포때매 힘듭니다ㆍ좀 안심해도될까요?

hpv바이러스 검사를 했을 때 바이러스 미검출(정상) 결과가 떴는데 그럼 곤지름 가능성도 없는건가요? 곤지름은 hov바이러스가 체내에 없어도 생길 수 있나요? 그리고 곤지름 의심 병변이 몇 달이 지나도 그대로라면 그냥 돌기라고 봐도 될까요?

여자친구와 구강성교 후 깨물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1주일 후에 귀젖같은게 올라왔습니다. 비뇨기과 가서 성병검사를 받고 증상없음이라고 떴습니다. 지금 1달정도 지난는데 전염은 없고 딱 2개만 계속 나 있는 상태입니다. 혹시 이거 곤지름인가요? 성병검사에서 곤지름은 발견되지 않는건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