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결절 수술을 해야 할까요?
어린이집 교사인데 아무래도 아이들과 말을 많이하고 동화책도 많이 읽어주다보니 목소리가 금방 허슥해지네요. 이번엔 목소리 허슥한게 너무 오래 지속되어 병원을 가니 성대결절이라 해요. 말을 하지 말라는데 직업상 안할수는 없어서 걱정입니다. 수술을 하는게 좋을까요? 굳은살처럼 서서히 생긴거라 수술을 해도 또 생긴다고 하는데 .또 생기더라도 하는게 맞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물어봅니다.
어린이집 교사인데 아무래도 아이들과 말을 많이하고 동화책도 많이 읽어주다보니 목소리가 금방 허슥해지네요. 이번엔 목소리 허슥한게 너무 오래 지속되어 병원을 가니 성대결절이라 해요. 말을 하지 말라는데 직업상 안할수는 없어서 걱정입니다. 수술을 하는게 좋을까요? 굳은살처럼 서서히 생긴거라 수술을 해도 또 생긴다고 하는데 .또 생기더라도 하는게 맞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물어봅니다.
AD
성대결절은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수술은 성대결절 치료의 한 방법이지만, 모든 경우에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수술 후에도 목소리 사용 습관이 개선되지 않으면 재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성대결절을 치료받는 기간 동안에는 큰 소리를 내는 등의 행위가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회복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결절을 재발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 주세요.
따라서, 수술을 고려하기 전에 음성 치료를 통해 목소리 사용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성 치료는 성대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목소리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목소리를 사용할 때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목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충분히 수분 섭취, 목 사용 자제, 습도조절, 금연 등의 생활 습관 교정이 필요하나 정확한 것을 진료를 본 주치의와 상담해 보시는 것을 권유 드려요.
수술을 결정하기 전에 음성 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음성 치료로도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그때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성대결절에 스테로이드 주입술이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긴 하나, 해당 시술에 대해서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1. 성대결절로 이비인후과에서 수술받았는데 몇주동안 말이 안나왔다는데 수술이 잘못된걸까요? 아니면 수술한 후에 말이 안나오는 게 맞는건가요? 2. 성대결절이라고 수술해야한다고 했다는데 결국에는 이상이 없었다는데 성대에 하얀 게 있어서 그것만 긁어냈대요. 근데 담당의사도 성대에 있던 하얀 게 뭔지는 잘 모르겠다고 그러고 수술하고 피만 나오고 처방받은 약 먹어도 호전이 없다는데 무슨 경우인가요? 성대결절로 수술하자해서 한건데 수술 들어가보니 이상이 없다고 하시고 수술하니 이상이 없다는데 또 하얀 게 있다고 긁긴 했는데 뭔지는 모르겠다고 하셨다하고 왜 그런가요?
이정도 성대 결절이면 수술이 필요한가요?
성대결절인거 같은데 어떻게 치료를 해야하고 성대결절 증상이 뭐고 만약 성대 결절이 아니더라도 평상시 말할때 발성을 어떻게 뱉어야 할까요 막 목이 잠긴거처럼 말을하다가 뚝뚤 끊기듯이 말이 된다라고 표현해야하나 암튼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