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목과 어깨의 만성적인 찌르는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말씀하신 증상과 치료 경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첫째,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이는 근육의 과도한 긴장이나 스트레스, 잘못된 자세로 인해 특정 근육에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이 형성되어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입니다. 특히 장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자세가 통증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둘째,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가 심각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디스크로 인해 신경이 약간 자극을 받거나 주변 조직의 염증이 신경을 압박하여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경이 눌리는 정도에 따라 통증과 저림의 정도, 발병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셋째, 자세 관련 문제가 통증의 주요 원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가 목과 어깨 근육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고개를 앞으로 내미는 자세나 어깨를 긴장시키는 습관이 있다면 통증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넷째, 심부 조직 손상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MRI에서 명확히 보이지 않는 미세한 근육, 인대, 또는 관절의 손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섯째, 중추성 통증도 고려해야 합니다. 만성 통증이 오래 지속되면 중추신경계가 과민화되어 통증을 더 강하게 느끼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현재까지 다양한 치료를 시도하셨지만 효과가 없었다는 점에서,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음 주에 예정된 대학병원 신경외과 외래 진료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논의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추가적인 영상 검사: MRI 외에도 CT, 초음파, 또는 기능적 검사(예: 근전도 검사)를 통해 신경 및 근육 상태를 더 자세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 통증 관리 전문의 상담: 만성 통증에 특화된 통증 클리닉에서 중추성 통증이나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신경병증성 통증에 효과적인 약물(예: 프레가발린, 가바펜틴 등)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요인 평가: 만성 통증은 스트레스나 불안과도 연관될 수 있으므로, 필요시 심리 상담이나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정확한 진단이 가장 중요하며, 대학병원에서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원인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우선입니다. 통증이 오래 지속되었기 때문에,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진료 후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