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티졸 호르몬 검사 결과 2.6, 쿠싱증후군 아닐까요? 부신 수술 필요한가요?
양쪽부신 결절성과증식이 있어서 내분비내과 진료를보니 코티졸 호르몬 검사를 여러번 시행했습니다 결과 코티졸 호르몬수치가 점점 떨어졌고 마지막에 2.6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6이면 쿠싱증후군은 아닌거라고 봐도 되나요? 쿠싱증후군 아니라며 부신 수술 안해도 된다고 했습니다 정말 수술 안해도 되는것 맞나요? 내년에 다시 추적검사하기로 했습니다
양쪽부신 결절성과증식이 있어서 내분비내과 진료를보니 코티졸 호르몬 검사를 여러번 시행했습니다 결과 코티졸 호르몬수치가 점점 떨어졌고 마지막에 2.6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6이면 쿠싱증후군은 아닌거라고 봐도 되나요? 쿠싱증후군 아니라며 부신 수술 안해도 된다고 했습니다 정말 수술 안해도 되는것 맞나요? 내년에 다시 추적검사하기로 했습니다
코티졸 호르몬 수치가 2.6이라는 결과만으로는 쿠싱증후군 여부를 확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쿠싱증후군 진단을 위해서는 코티졸 수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호르몬 검사와 임상 증상, 영상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코티졸 수치가 점차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 이는 쿠싱증후군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진단 기준은 복잡하며, 정상 범위 내에서의 변동이나 검사 시간, 스트레스, 약물 복용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신 수술의 필요성은 부신 결절의 크기, 기능, 증상, 그리고 쿠싱증후군이나 다른 부신 기능 이상 질환의 유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의사가 수술을 권하지 않았다면, 현재로서는 수술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일 수 있습니다. 내년에 추적 검사를 하기로 한 것은 상태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 계획을 조정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추적 검사 결과에 따라 수술이나 다른 치료 방법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진료를 담당하신 내분비내과 전문의의 판단을 신뢰하시고, 추천한 대로 추적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불안하거나 추가적인 의문이 있으시다면, 다른 전문의의 의견을 구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신부전증으로 투석중입니다 양측부신결절성과증식이 있습니다 양측부신결절성과증식은 양측 부신을 다 떼어내야하나요? 양측 부신결절성과증식인데 부신을 직접적으로 떼어내는 수술을 하지 않고 먼저 쿠싱증후군검사를 먼저했고 쿠싱증후군 검사결과 쿠싱증후군이 아닐가능성이 높다고 부신절제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습니다 왜 부신절제술을 먼저 안하고 쿠싱증후군 검사를 먼저 하나요? 쿠싱증후군이 아니면 양측부신결절성과증식은 수술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쿠싱증후군 부신종양 원인인데 수술이 필요한가요?
기립성 빈맥증후군 진단을 받았는데 코티졸이라는 수치도 낮다고 들어서 치료를 해야 한다고 들어서요 코티졸에 대해 검색해도 잘 안나와서.. 심각한걸까요? 9.6부터 정상이라고 하는데 저는 2.8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