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 검사 후 발진과 통증 증상, 추가 검사 필요한가요?
매독 검사를 13주차까지 4번 가량을 하고 모두 이상없다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 후로도 피부에 벌레 물린듯한 발진이 몸이 피곤하면 주로 팔다리에 나타나고 무릎관절 부위 멍든것 같은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검사를 또 받아야 하나요?
매독 검사를 13주차까지 4번 가량을 하고 모두 이상없다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 후로도 피부에 벌레 물린듯한 발진이 몸이 피곤하면 주로 팔다리에 나타나고 무릎관절 부위 멍든것 같은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검사를 또 받아야 하나요?
매독 검사 결과가 4번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면 매독 감염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면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추가적인 진료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발진과 관절 통증은 매독 이외에도 다양한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 질환, 피부 질환 등 다른 원인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의 세부적인 특징(발진의 모양, 분포, 지속 기간 등), 관절 통증의 정도와 양상, 그리고 기타 동반 증상 등에 대한 정보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면 피부과나 내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매독이 아닌 다른 궤양성 병변인 경우도 있으므로 경과를 보시거나 염려가 되신다면 다시 재검을 하시면서 비뇨의학과 의사와 증상에 대한 충분한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AD
에이즈 매독 헤르페스의 관계 후 12주 이후 혈액검사의 정확도가 얼마나 되나요? 추가 검사가 필요한가요?
의심관계 후 1달이 지난 시점에서 std12종 검사중에서 브러쉬로 성기 피부를 닦는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특별한 증상이 있기때문에 검사를 한 것은 아니었고 마음속의 불안함에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모두 음성이 나왔지만 이 경우 검사 결과의 신뢰도는 어느정도이고 헤르페스 매독 같은 경우엔 무증상 경우가 많고 무증상에 브러쉬 검사를 진행하면 위음성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데 그 확률이 어느정도인지도 궁금합니다 현재 사타구니와 음모쪽이 간지러운 경우가 있고 몸 전체에서 간지러운 부분이 많습니다 단지 여름이라서 그런거라면 좋겠지만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한것은 아닌지 걱정됩니다 허벅지에 붉은 반점들이 올라왔었는데 단지 땀띠였을지 다른 증상이었을지도 걱정됩니다 매독의 경우 붉은 반점이 올라올 수 있다는데 이런 증상이 있었더라면 검사의 신뢰도는 높은걸까요? 헤르페스와 매독이 특히 걱정됩니다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직업여성(노래방도우미) 분과 1초도 안되는 살짝 뽀뽀?2회정도 당하고 갑자기 매독포비아가 강하게 와서 24일차 보건소 RPR 및 TPPA 검사(결과음성) 하고 28일차 애보트 매독키트로 다시 해서 (결과음성) 판정 받았습니다. 추후 검사 더 해야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