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개월 아기 기초체온이 37.1~3정도 되는데 한달 전 모세기관지염에 걸리고 중이염과 초기폐렴까지 겪으면서 한 달째 체온이 37.5~8이 왔다갔다 평균 37.7정도 합니다.
잘 때는 36도 대로 떨어지고 콧물도 안나고 잘 먹고 잘 자고 정상적으로 잘 놀아요! 잘 때 가끔 식은땀 흘려서 좀 따뜻하게 해주면 땀은 멈춥니다.
아프기 전에는 한 번도 이런적이 없었는데 저 온도가 지속되니 미열이 계속되는 것 같아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있어요.
현재 폐에 염증이 조금 남아있고 아직 가래가 낀 기침을 조금하는데 숨소리 정상, 중이염도 없고 목도 괜찮다고 해요.
Q1 기초체온이 높은 아기일 경우 몇도까지 정상체온으로 볼 수 있나요?
Q2. 아직 폐에 염증이 남아있고 코막힘이 있어서 계속 미열이 나는 걸까요?
감기발열감기약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소아청소년과 관련 1개의 답변
실시간 고민 해결사
닥터나우 AI
2024.02.21
안녕하세요. 아기의 건강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아기의 체온과 관련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Q1. 기초체온이 높은 아기일 경우 몇도까지 정상체온으로 볼 수 있나요?
아기의 정상 체온은 대체로 성인과 비슷하게 36.5~37.5도 범위를 정상으로 봅니다. 하지만 아기들은 성인에 비해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여 활동량이나 환경에 따라 체온이 다소 변동할 수 있습니다. 37.1~37.3도는 약간 높은 편이지만, 아기가 활동적이고 다른 이상 증상이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체온이 37.5도를 넘는 경우에는 미열로 간주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Q2. 아직 폐에 염증이 남아있고 코막힘이 있어서 계속 미열이 나는 걸까요?
네, 폐에 염증이 남아있거나 코막힘이 있는 경우 미열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염증 반응으로 인해 체온이 약간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몸이 아직 회복 중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가래가 낀 기침이 있다면 아직 감염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기가 잘 먹고 잘 자며 활동적이라면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미열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소아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추가적인 진료나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시면서, 증상에 변화가 있거나 미열이 계속되면 소아과 전문의와 상의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빠른 시간 내에 완전히 회복되기를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첨부된 이미지를 제외하고 해석한 답변이에요.
본 답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 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닥터나우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