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 2형 질내 pcr 검사와 혈액검사 정확도
헤르페스 2형에 대해 궁금합니다. 저는 여성이며, 수포가 있을 때 질 내 pcr 검사의 정확도는 높은 편인가요? 수포에서 긁어서 나가는 스왑검사를 추가로 해봐야하나요?? 혈액검사도 진행했는데, 의심 성관계 후 17일 후에 받은 혈액검사는 정확도가 떨어지나요?
헤르페스 2형에 대해 궁금합니다. 저는 여성이며, 수포가 있을 때 질 내 pcr 검사의 정확도는 높은 편인가요? 수포에서 긁어서 나가는 스왑검사를 추가로 해봐야하나요?? 혈액검사도 진행했는데, 의심 성관계 후 17일 후에 받은 혈액검사는 정확도가 떨어지나요?
헤르페스 2형에 대한 질 내 PCR 검사는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수포가 있을 때 검사를 진행하면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병변이 있을 때에는 병변에서 도말해서 얻은 것이 정확합니다. 따라서 수포에서 직접 채취한 스왑검사를 추가로 진행하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의 경우, 헤르페스 2형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의심 성관계 후 17일 만에 받은 혈액검사는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체가 형성되기까지는 몇 주에서 몇 달이 걸릴 수 있으며, 무증상의 경우 신뢰도가 낮고 위양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난 후 재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좋으며, 후기항체 IgG 확인을 위해 혈액검사도 추가적으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의심관계 11주후 igg항체 검사의 정확도는 퍼센트로 따지면 어떻게 될까요?
헤르페스를 진단하는데 수포가 아니라 딱지가 져있는 상태에서 병변 긁어서 나가는 pcr 시행하면 정확도가 떨어지나요?
글자수 제한으로 제목에는 짧게 적게 되었습니다. STD 12종에서 흔히 성병으로 불리는 헤르페스 1형 2형, 임질, 매독, 트리코모나스 등 '음성'판정 받았습니다. 산부인과에서 냉 채취 PCR로 진행되었는데, 정확도 믿을만할까요? 음성이 나오더라도 혈액검사 추가적적으로 받아봐야하나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