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상풍 백신 8년 후 상처, 걱정해야 하나요?
Tdap 파상풍 백신 맞은지 10년이 지나니 않은, 8년이 된 상태이고, 가정내에서 생긴 상처인 경우 파상풍으로 갈 걱정은 안 해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파상풍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바로 병원 가도 치료가 가능한가요? 그냥 손도 못 쓰고 죽나요?
Tdap 파상풍 백신 맞은지 10년이 지나니 않은, 8년이 된 상태이고, 가정내에서 생긴 상처인 경우 파상풍으로 갈 걱정은 안 해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파상풍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바로 병원 가도 치료가 가능한가요? 그냥 손도 못 쓰고 죽나요?
AD
파상풍 백신(Tdap)을 맞은 지 8년이 되었다면, 일반적으로 파상풍에 대한 면역력이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상처의 상태와 감염 위험에 따라 추가적인 예방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상처가 깊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병원에서 추가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에게 물린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처에 대해 확인 후 적절한 치료를 받아보시고, 파상풍 예방 접종하신 적 없다면 파상풍 주사 접종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담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
파상풍 초기 증상으로는 근육 경련, 특히 턱의 경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상풍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지만, 치료가 늦어질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빠른 의료 조치가 필요합니다. 독소가 들어온 뒤 파상풍 주사를 맞더라도 효과를 볼 수 있어요. 또한, 파상풍 면역글로불린(TIg)은 파상풍을 일으키는 세균을 즉시, 단기적으로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예상돼요. 따라서 상처가 생겼을 때는 상처를 깨끗하게 관리하고, 필요시 의료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파상풍 의심 증세가 심해진다고 느껴진다면 다시 병원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꼭 확인해주세요.
파상풍 주사 맞은지 10년이 안 지났으면 상처가 나도 파상풍은 걱정 안 해도 되나요?
3년전에 다쳤을 때 파상풍 주사를 맞았는데요 (파상풍 증상이 있어서가아니라 상처 때문에 파상풍이 날까봐) 그럼 이게 10년 효과 있는 파상풍 예방 주사 맞은거랑 같은건가요? 아니면 따로 파상풍 예방주사를 맞아야하나요? 그때 맞은 주사는 생물학적제재주사(파상풍~)이랑 테타불린에스앤주프리필드입니다
지인이 과도에 손가락을 베여 동네병원에 갔습니다. 상처 확인 후 다행히 꿰맬 상처는 아니라 진단받았습니다. 파상풍 주사를 맞은 지 딱 10년이 됐기에, 병원 측에서 파상풍 응급 주사?라는 걸 놔 주셨습니다. 이후에 파상풍 예방접종을 다시 맞으러 오라고 하셨습니다. 응급주사 맞은 지 이틀가량 지났는데 파상풍 예방접종은 언제 맞으러 가면 될까요? 손가락의 상처가 다 나은 후에 가야 하나요? 아니면 언제 가도 상관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