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균 검사에서 위음성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매독균 같은 경우에 증상이 없다면 std12종검사중에 브러쉬로 진행하는 검사를 해서 위음성이 나올 가능성이 많이 높나요? 마지막 관계는 8주를 넘었습니다 병변이 없다면 정확도가 다소 낮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만 어느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 정확도가 궁금합니다 저의 경우 신뢰도는 어느정도일까요? 위음성일 가능성은 접어두면 될까요?
매독균 같은 경우에 증상이 없다면 std12종검사중에 브러쉬로 진행하는 검사를 해서 위음성이 나올 가능성이 많이 높나요? 마지막 관계는 8주를 넘었습니다 병변이 없다면 정확도가 다소 낮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만 어느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 정확도가 궁금합니다 저의 경우 신뢰도는 어느정도일까요? 위음성일 가능성은 접어두면 될까요?
매독 검사의 위음성 가능성에 대해 걱정하고 계시는군요.
매독 검사의 경우, 검사 방법과 시기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브러쉬를 이용한 STD 검사는 주로 표면 세포나 분비물을 채취하는 방식인데, 매독의 경우 혈액 검사(RPR, TPLA 등)가 더 정확한 진단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검체 채취 시 매독균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도가 다소 낮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지막 관계 후 8주가 지났다면, 이 시점에서는 대부분의 매독 감염이 검사로 확인될 수 있는 시기입니다.
매독균은 감염 후 보통 3-6주 내에 항체가 형성되어 검출 가능해지며, 8주가 지났다면 대부분의 경우 검사에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브러쉬 검사보다는 혈액 검사가 매독 진단에 더 신뢰할 만한 방법입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8주가 지났고 증상이 없다면, 검사 결과가 음성이었을 때 어느 정도 안심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100% 확신을 원하신다면, 혈액 검사를 통한 추가 확인이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 매독 혈액 검사는 감염 후 3개월 시점에서 가장 정확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애보트 매독자가검진키트 fast 3.0 사용중에 채혈된 손가락을 스트립하단에 접촉했습니다. 설명서를 읽어보니 스트립에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코팅되어있다고 기재되어있습니다. 그럼 제가 채혈한 손가락 즉,,상처난 손가락에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접촉 되었다는건데,,, 이런경우 매독에 감염될 수 있나요??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1.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매독균을 의마하나요? 2. 스트립에 코팅되어있는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상처에 노출되면 감염 위험이 있나요? 아니면 아얘 전혀~~문제가 없는건가요?? 검사후 실수로 접촉을 하고 설명서 읽고나서 심한 포비아가 와서 너무 걱정됩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구안와사가 왔을때 대학병원에서 피검사를 받았는데 그 피검사에도 매독같은 균을 검출 할 수 있나요?
86세 시어머님께서 과거에 매독을 앓으셨었는데 얼마전 담석 수술을 하시고 혈액 검사에서 매독균이 발견되었는데 치료가 시급한걸까요? 과거에 매독에 걸리셨던 흔적이 있다는 얘기를 건강검진결과로 오래전에 들은적이 있습니다. 현재 시골에 혼자 계시고 , 옛날에 걸리셔서 그냥 있는줄 알고 대수롭지 않게 여겨 두 달 후로 검사예약을 하였는데 빨리 검사와 치료를 해야하는 위급한 상황일까요? 어머님은 다른 증상은 없으시고 평상시 그러시듯 입맛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된다 하셔서 담석약과 함께 소화제를 처방받으셨습니다. 심하시진 않아 생활은 활력있으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