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아기의 증상으로 인하여 수족구인지 걱정이 되시는 상황인 것 같아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진상 수족구병의 전형적 증상은 뚜렷히 보이지 않는 것 같아요.
현재 상태는 항생제 등 약물에 의한 피부 반응 또는 경미한 비특이적 바이러스 발진일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보여요.
다만, 발진이 심해지거나, 전신으로 확산되거나, 아이 컨디션이 현저히 떨어진다면, 다시 한번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사진을 참고하면 아이의 팔 부위에 연한 붉은빛의 좁쌀처럼 작은 발진이 일부 관찰되는 것 같아요.
발진은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약간 부풀어 오른 듯한 모습이 보이지만, 물집(수포)이나 진물, 심한 붓기 등은 잘 나타나지 않는 것 같아요. 또한 넓은 부위에 걸쳐 퍼지지 않고, 국소적으로 몇 군데 보이는 것 같아요.
수족구병은 주로 손, 발, 입안에 물집이나 붉은 발진이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드물게 팔이나 다리, 엉덩이에도 발진이 나타날 수 있어요.
하지만 수족구에 의한 발진은 대부분 손바닥, 발바닥에 더 특징적으로 생기고, 얕은 물집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단순 홍반만 있거나 국소적으로 몇 군데 있는 형태는 드문 편이라고 볼 수 있어요.
또한 입안 궤양과 발열, 통증 등이 함께하는 경우가 많으나 현재 사진과 설명에서는 이런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 같아요. 따라서 올려주신 사진만으로는 수족구병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항생제나 다른 약을 복용한 후 피부에 나타날 수 있는 알레르기성 두드러기는 피부 표면에 매끈하게 작은 발진이 드문드문 올라오거나, 때때로 부풀어 오르면서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어요.
발진은 신체 한 부위에만 생기기도 하고 전신으로 퍼질 수도 있어요.
최근 항생제 및 여러 약을 복용한 이력이 있어 알레르기 반응의 가능성도 있을 것 같아요.
소아는 감기나 장바이러스 등 단순 감염 후에 전신 또는 국소 부위에 비특이적 발진이 생길 수 있어요.
이런 경우 대체로 1–3일 내 사라지거나 다른 피부 부위로 이어지기도 하며, 대개 심각하지 않다고 볼 수 있어요.
우선 피부 청결을 유지하고, 아이가 긁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오늘 처방받은 약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투약을 잘 하면서 경과를 지켜보시는 게 좋을 것 같고, 만약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되어 아이가 불편해하거나,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것 같다면, 다시 한번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