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약 10년 복용 후 중단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제가뇌전증약을먹고있어요.그런데신경과에서는아무이상없다고했는데혹시나해서약처방해드릴까요하길래받아서먹은지10년됬어요약을끊고싶은대어떻게할까요?그리고잘때만한번머리가핑돌더니혀깨물어서피가나고했어요
제가뇌전증약을먹고있어요.그런데신경과에서는아무이상없다고했는데혹시나해서약처방해드릴까요하길래받아서먹은지10년됬어요약을끊고싶은대어떻게할까요?그리고잘때만한번머리가핑돌더니혀깨물어서피가나고했어요
AD
뇌전증 약을 장기간 복용하신 후 중단을 고려하시는 경우,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뇌전증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는 것은 발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여 점진적으로 용량을 줄여나가는 '테이퍼링(tapering)'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잠을 자는 도중에 머리가 핑 돌고 혀를 깨물어 피가 난 경우는 수면 중 발작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뇌전증의 발작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약물을 중단하기 전에 반드시 신경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정확한 진단과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약물 중단을 고려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발작 유무: 발작이 없었던 기간이 길고, 뇌파 검사(Electroencephalogram, EEG) 등의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면 약물 중단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의 조언: 신경과 전문의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 발작의 유형, 뇌파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약물 중단 여부와 방법을 결정할 것입니다.
점진적 감량: 약물을 중단할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점진적으로 용량을 줄여나가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중단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약물 감량 과정에서 정기적인 의료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발작이 재발하거나 다른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약물 중단 결정은 개인의 건강 상태와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신경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안전하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