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 호르몬 검사시 비기능 결절로 나오는 확률은?
1센티 미만 편측성 부신 결절성 과형성은 부신 호르몬 검사시 비기능 결절로 나오는 확율이 높은가요?
1센티 미만 편측성 부신 결절성 과형성은 부신 호르몬 검사시 비기능 결절로 나오는 확율이 높은가요?
부신 결절이 발견되었을 때, 그 결절이 기능성인지 비기능성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기능성 결절은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하여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비기능성 결절은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거나 정상 범위 내에서 분비하여 증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1센티미터 미만의 편측성 부신 결절성 과형성의 경우, 대부분의 작은 결절들은 비기능성일 확률이 높습니다. 실제로 많은 부신 결절은 우연히 발견되며 대부분이 비기능성입니다.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결절의 크기만으로 기능성 여부를 결정할 수는 없습니다. 부신 호르몬 검사는 결절이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검사에는 코티솔, 알도스테론, 카테콜아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기능성 결절로 간주됩니다. 비기능 결절로 나오는 확률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는 연구마다 다를 수 있으며, 결절의 크기, 모양, 환자의 임상 증상, 가족력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부신 결절이 발견되었다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호르몬 검사 및 영상 진단을 통해 개별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결절의 모양이 울퉁불퉁하다면 검사를 진행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꼭 확인해주세요.
1cm 미만 부신 결절에서 "결절성 과형성" 혹은 "선종" 으로 진단될 확율이 각각 얼만큼 되나요
양쪽부신 결절성과증식이 있어서 내분비내과 진료를보니 코티졸 호르몬 검사를 여러번 시행했습니다 결과 코티졸 호르몬수치가 점점 떨어졌고 마지막에 2.6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6이면 쿠싱증후군은 아닌거라고 봐도 되나요? 쿠싱증후군 아니라며 부신 수술 안해도 된다고 했습니다 정말 수술 안해도 되는것 맞나요? 내년에 다시 추적검사하기로 했습니다
신부전증으로 투석중입니다 양측부신결절성과증식이 있습니다 양측부신결절성과증식은 양측 부신을 다 떼어내야하나요? 양측 부신결절성과증식인데 부신을 직접적으로 떼어내는 수술을 하지 않고 먼저 쿠싱증후군검사를 먼저했고 쿠싱증후군 검사결과 쿠싱증후군이 아닐가능성이 높다고 부신절제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습니다 왜 부신절제술을 먼저 안하고 쿠싱증후군 검사를 먼저 하나요? 쿠싱증후군이 아니면 양측부신결절성과증식은 수술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