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 이상 정밀검사, 어떤 검사가 필요한가요?
전립선에 이상이 있는지 정밀검사를 해보고 싶은데 검사를 몇가지를 해야하나요? 한가지 검사만 해도되나요? 아니면 전립선초음파 전립선액검사 피검사 모두 다해야하나요?
전립선에 이상이 있는지 정밀검사를 해보고 싶은데 검사를 몇가지를 해야하나요? 한가지 검사만 해도되나요? 아니면 전립선초음파 전립선액검사 피검사 모두 다해야하나요?
AD
전립선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 검사를 종합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전립선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소변 검사: 소변에서 세균과 백혈구의 증가를 확인하여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PSA(전립선 특이항원) 수치 및 염증 수치를 확인하여 전립선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전립선 초음파: 전립선의 크기, 구조적 이상, 결절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영상 검사입니다.
전립선액 검사: 전립선 마사지를 통해 전립선 분비물을 채취하여 세균성 전립선염 등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추가적인 영상 검사: 필요에 따라 MRI 등의 정밀 영상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한 가지 검사만으로는 전립선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음파만으로는 구조적 이상은 확인할 수 있지만 염증이나 감염 여부는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반면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만으로는 전립선의 물리적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질문자님의 증상과 의심되는 질환에 따라 비뇨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의사는 질문자님의 증상, 나이, 가족력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검사를 선별적으로 시행할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전립선 비대증 진단 후 PSA 수치가 4.5 ng/mL로 측정되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어떤 추가 검사가 필요한가요?
1. 전립선 비대증으로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전립선암도 의심된 상황이라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하면서 조직검사도 같이 했다던데 전립선암은 바깥부터 생긴다고 했나 안쪽부터 생긴다고 했나 그러시면서 이 조직검사는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만약 조직검사 결과 이상없다고 나오더라도 초음파로 들어가서 바늘로 찔러보는 조직검사를 다시 시행해야할 수도 있다던데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시 시행하는 조직검사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초음파로 하는 조직검사로 해야 정확한 게 맞나요? 2. 전립선특이항원검사 수치가 높은데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로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 한 후 다시 검사했을 때 정상 수치라면 수치가 높은 게 전립선암이 원인이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이 원인인건가요? 3. 전립선특이항원 검사에서 수치가 높은 상태에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하려고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한 후 다시 검사를 다시 했는데 만약 수치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거나 더 높아졌다면 전립선암일 수 있나요?
1. 전립선암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중 전립선 MRI 검사라는 게 있나요? 2. 초음파 조직검사와 전립선 MRI 검사 두 가지 다 시행한 후 암을 확진하는건가요? 아니면 한 가지만 시행한 후 암을 확진하는건가요? 3. 전립선 MRI 검사라는 게 따로 있나요? 아니면 복부 MRI 검사 후 전립선 상태를 보는건가요?